- 영문명
- Der charkter der padagogik aufgrund der padagogischen anthropologie ― uber den sein-sollen-struktur der padagogik ―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최종인(Choi Zong-In)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교육문제연구 제23집, 29~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논의가 교육학의 연구주제로서 유효하다는 사실은 역설적으로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이 매우 다양하며, 따라서 어떤 특정한 입장에 근거하여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하여 교육학이 학문으로 성립되고 발전된 과정을 고찰하여 교육학의 학문적 특수성을 언급하고, 교육학의 학문적 특수성은 교육학의 고유한 인간이해에 기인함을 밝히고자 한다. 즉 교육학이 인간을 이해하는 방식은 인간을 현실적인 존재(Sein)로서만이 아니라, 교육을 통하여 되어져야 할 당위(Sollen)에서도 파악하고 있으며, 이러한 존재와 당위의 대립구조는 서술적인 측면과 규범적인 측면으로 구별되어 논의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교육학의 인간학적 차원에서 통합되어 이해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Ⅱ. 교육학의 성립과 발전
Ⅲ.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Ⅳ. 교육학의 존재(Sein)-당위(Sollen) 대립구조
Ⅴ. 교육인간학(Padagogische Anthropologie)
Ⅵ. 교육학의 인간학적 차원
Ⅶ. 맺는 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Zusammenfassung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네켄(G.v. Wyneken)의 ‘자유 학교공동체 비커스도르프’에 관한 연구
- 대학 구조개혁 방안 ― 정부방안의 쟁점과 과제 ―
- 교육과정중심 특기·적성교육의 실천 방안 연구
-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 『敎育問題硏究』 논문 투고 요령 외
- 정신과학적 교육학에서 본 교육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추사 김정희의 인간관과 교육과정론 ― 「인재설」과 「적천리설」을 중심으로 ―
- 교육인간학에 근거한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교육학의 존재(서술)-당위(규범) 대립구조에 대하여 ―
-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형성배경
- 미국 소재 주말 한글학교에서의 학습과 그 후 10년
- 文化接變으로 바라본 少數民族 교육 ― 中國 雲南省 金平縣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