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 분석: 영국·미국·호주·일본을 중심으로

이용수  1,659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n Good Practices for developing Basic Workplace Skills for University Students in Selected Countrie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정표(Lee Jung-Pyo)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171~19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직업기초능력은 지식기반경제 및 기업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이나 국가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개인들이 평생 고용을 보장받기 위해 습득해야 할 필수적인 핵심능력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주요 선진국들은 정부 차원에서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추진하고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같은 배경에서 이 글은 영국의 직업기초능력 프로젝트, 미국의 능력중심의 교육과정, 호주의 졸업생 능력평가시험과 대학지원 프로그램, 일본의 취직기초능력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대학생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우리나라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을 제고시켜 나갈 수 있는 정책 및 제도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Basic workplace skills, also known as employability skills, generic skills etc. are those skills to gain employment and to progress in employment throughout one's lifetime. In today's knowledge economy, basic workplace skills have been regarded as essential for forming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Major advanced countries, therefore, have developed the police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developing basic workplace skills. In this study, key skills projects of England, ability-based curriculum, Graduate Skills Assessment of Australia and Yes-Program of Japan were selected and analyzed comparatively as representative examples for improving the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analysis, some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irections and system of supporting basic workplace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지원 실태 분석
Ⅲ. 주요국의 특징 비교 및 시사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표(Lee Jung-Pyo). (2005).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 분석: 영국·미국·호주·일본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5 (2), 171-195

MLA

이정표(Lee Jung-Pyo).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 분석: 영국·미국·호주·일본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5.2(2005): 171-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