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의 대학원 교육체제 분석 연구: 발전적 대학원 교육체제 구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
이용수 539
- 영문명
- An Analysis of Graduate Educational System in Major Foreign Countries : Som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현석(Hyun-Seok Shin) 반상진(Sang-Jin Ban) 이석열(Seok-Yul Lee)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53~8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0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원 교육은 고등교육이 국가경쟁력 제고의 핵심분야로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정책과 연구의 관점 모두에서 소홀히 취급되어왔다. 이러한 경향은 세계의 주요 선진국들이 대학원 교육을 수월성의 바탕위에서 과감하게 재정지원과 체제개선이라는 양면의 노력을 통해 꾸준히 경쟁력을 키워온 행로와 대비된다. 이 연구에서는 장구한 역사를 통해 선진적인 대학원 교육체제를 발전시켜왔고 세계적으로도 파급력 있는 대학원 시스템을 가진 미국, 독일, 영국의 대학원 교육체제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미국으로부터는 선택과 집중에 의한 지원체제 구축과 재정지원의 확충을, 독일로부터는 보다 체계적인 질 관리 체제의 구축을, 영국으로부터는 교육과 연구에서 질적 수월성의 강화와 자율성의 보장을 주요한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선진 3개국의 대학원 교육체제 분석으로부터 향후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거시적인 정책 방향으로 국제화와 구조조정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graduate education has been neglected for its importance, though it appears to be a focal point for exalting any nation's competitiveness. This kind of trend contrasts with ways the other nations have kept the pace for their competitiveness by means of both financial supports and system improvements based on the pursuit of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is intented to draw any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rom an analysis of graduate educational system in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England.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 (1) the building of supporting system and the extended financial support to the graduate schools, based upon the principle of choice and concentration in the U.S. , the construction of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Germany, and the strengthening of quality excellence in education and research in England. Analyzing three countries' graduate systems, there after, this study recommends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restructuring of graduate educational system as new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its qual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외국 대학원 교육체제의 현황
Ⅲ. 외국 대학원 교육체제의 비교 분석
Ⅳ. 외국 대학원 교육체제가 주는 시사점
Ⅴ. 결론: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미국·영국의 대학평가 비교연구 - 대교협·CHEA·QAA를 중심으로 -
- 외국의 대학원 교육체제 분석 연구: 발전적 대학원 교육체제 구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국가간 대학의 교류 및 평가협력기구 비교분석 연구 - UMAP, ENQA, INQAAHE를 중심으로 -
-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 분석: 영국·미국·호주·일본을 중심으로
- 日本の中等敎育改革の成果と課題
-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개정 및 시행 절차 고찰
- 스웨덴과 일본의 방과후 아동보육제도 비교연구
- 중국과 홍콩의 대학평가 비교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