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靑蓮 李後白 漢詩에 나타난 두 가지 새로운 경향
이용수 75
- 영문명
- Two Kinds of New Tendency in Cheonglyeon Leehoobaek's(靑蓮 李後白) Hansi(漢詩)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대현(Kim Dae-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한국언어문학 제53집, 335~3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generally, the poetry of Honam' Sarim(湖南士林) in the first half of 16th is time to spare but pursues pure mood. Thereafter about the middle of 16th Cheonglyeon Leehoobaek opens up new poetry in various ways. Specially first, he introduces plentifully pictorial figurations in poetry. That is not practical space but objective descriptions as a piece of picture.
He tries pictorial figurations that include the ascending methods, the contrast of intense colours, the contrast of time and space. Those methods are based on the writer's pure lyricism. And as increasing radiation he expresses sentimental solitude, yearning and a state of indecision. In other words he makes intervention subjective emotions in poetry. This tendency expanded by later poets, for instance, Choigyeongchang(崔慶昌), Baekgwanghoon(白光勳).
More than anything else noticeable feature in his poetry is wholehearted appearance of women. And that is rewarded with good fruits of Honam literature(湖南文學). In his women's poem, he accepts women's emotion and extends women-teller in . In this points, Cheonglyeon leaded a way in the process of the 16th's Hansi.
This tendency can be called 'Honam's lyricist group in 16th'. Because they purse pure lyricism by using pictorial figuration and not only to accept women’s emotion but also extends women-teller in poetry.
Cheonglyeon Leehoobaek is early poet in Honam’s lyricist group in 16th after Saam Paksoon(思菴 朴淳). And then it can be confirmed Honam's lyricist group from Okbong Baekgwanghoon, Gojook Choigyeoungchang to Baekho Imjae(白湖 林悌) in the latter half of 16th.
목차
Ⅰ. 머리말
Ⅱ. 회화적 형상화의 개척에 대하여
Ⅲ. 여성정서와 여성화자의 형상화에 대하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兵學指南』의 書誌와 국어학적 특징
- 15세기 국어 타동사의 기본 문형 연구
- 어기의 범주를 바꾸는 접두한자어
- 「怨歌」形式에 대한 硏究
- 駱西 尹德熙 題畵詩에 표출된 山水의 이미지
- 한국 현대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 그 활용방안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백석의 시어와 구개음화
- 친일 논리에 되비춰 본 채만식 문학의 문제성
- '-ㄹ 수 있-'구성의 특징과 문법화
- 차자표기 '(-)向(-)'의 해독 연구
- 학습자 중심의 창작교육 연구
- 갇힌 시간과 그 해체 - 박재삼론
- t-구개음화와 신·구 유표성 제약
- 『태백산맥』과 『혼불』의 언어 비교
- 시어의 전략적 의미와 미학 - 1930년대 시인들의 방언 사용을 중심으로
- 분류와 저항 담론을 통한 주제 형성 연구
- 「천군연의」와 연의소설의 상관성
- 김명순 시의 주제 연구
- 『청춘』의 독자문예란 연구
- 「광장」의 공간론
- 「온양온수노졍긔라」의 연구
- '여성 몸'과 '사랑 담론'의 역학관계 - 문순태 「황홀한 귀향」과 「물레방아 속으로」를 중심으로
- 靑蓮 李後白 漢詩에 나타난 두 가지 새로운 경향
- 잡색놀음연구 Ⅱ - 고창·김제·부안·이리·영광 풍물굿의 도둑잽이굿을 중심으로
- 김수영의 「거대한 뿌리」연구
- 한국, 조선, 중국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특징에 대한 국어정보학적 연구 - 일반명사와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
- 일제강점기 재중 조선인 소설 연구 - 1910년~1949년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