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지역 문예지의 지형학적 연구-문학운동론적 관점에서
이용수 86
- 영문명
- A Geographical Study of Literary Journals in Busan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황국명(Hwang Kook-M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7집, 331~377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resent study investigates literary journals or magazines in Busan. Especially focus on a geographical quality and literary movemen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both traits and outcomes of literary magazine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e literary journals of Busan unfold from a short life through differentiation to diversity.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become the mainstream of the journal. The poetry dominants in a genre, and the special magazines matured and quarterly magazines established.
2. From beginning, the regional magazines of Busan recognize a regional inequality and assume the form of literary movement. But because of difficulty in management of a medium, the subjects of movement want a patronage. The regional media competed with different magazines in the inside. In the process, they exhibited a different recognition abut regional particularity. The regional literary magazines pluralize a recognition about literature and democratize writing. Especially the district magazines show a aesthetic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place. At the same time, the regional magazines pursuit a universality, anti-ideology and globalization.
3. The most important journals in Busan are 『the vision』(전망) and 『the horizon』(지평). Each one of two pursuits the ontological strategy of culture and the functional strategy of culture. The former lay stress on significance of critical interpretation, the latter lay stress on value of social practice. The problem of dialectical synthesis turn over 『Korean critical review』(오늘의문예비평)
목차
Ⅰ. 들머리
Ⅱ. 부산지역 문예지의 태동과 성장
Ⅲ. 부산지역 문예지의 지리적 상상력과 문화전략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지역 문예지의 지형학적 연구-문학운동론적 관점에서
- 광복기 아동지와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 일제 강점기 일간지를 통해 본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시대일보·중외일보·매일신보(1910-1930) 소재 동시를 중심으로-
- 나라잃은시기 아동잡지로 본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 1950년대 전쟁기 피난문단과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매체 연구
- 부산지역 해양문학의 문화론
- 근대적 '시간'관념과 문학의 존재방식-양건식의 <귀거래>를 중심으로
- 영화 <올드보이>의 주체 소멸에 관한 서사론적 연구
- 申采浩 詩의 성격과 詩論의 向方
- 이효석의 <山>과 <들>에 나타난 자연의 성격
- 카프의 매체 투쟁과 프롤레타리아 동요집 『불별』
- <蔡世英이야기>를 통해본 16세기 風流世態의 한 단면
- 眞靜國師의 二元的 世界觀과 文學的 指向
- <사씨남정기>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 분석-규장각 소장본과 장서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