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pect of Yangban-Pyungryu(兩班風流) in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조광국(Jo Gwang-Gu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7집, 27~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dissertation is research about Yangban-Pyungryu(兩班風流) which is one of cultural appearance in Yi-dynasty, Korean old dynasty. Main data of this treatise is .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is composed of conspiracy, trick and master's separation tear. That man forms sexual relation with Kisaeng does not mean that he is satiricaled. Onlookers' laugh wears inclination that look sympathetic feeling about government official who break up with Kisaeng, not that wear inclination that satirical master.
Second, backing of this story was handled in this treatise. Jung-jong(中宗) King tried to purify moral depravity of Youn-san(燕山) king. Such control is unpractised properly. In connection with it Yangban(兩班) is doing amusements with official kisaeng, that is one of phenomena of Yangban-Pyungryu. cultural discourse of is discussed. "Local manners that Yangban forms sexual relation with Kisaeng" and "Control of Government that prohibit such manners" collided each other in this story. This story is conjuring affection action with Yangban's official kisaeng positively with such social-cultural situation. Affirmative awareness about Yangban's affection is deep connection with Yangban-Pyungryu culture. Composition way of this story which was made of conspiracy, trick, separation tear was materialized in frame of Yangban- Pyungryu Culture, again materialized such frame firmly.
Finally, Official Kisaeng is represented as means of Yangban's affection in . Yangban-Pyungryu is enjoyed in commoner and man of low birth's sacrifice including official Kisaeng. This limit is assumed as the limit of Yangban-Pyungryu(風流) culture in 16th century in Korea.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채세영이야기>의 구성적 특징
Ⅲ. <채세영이야기>의 문화적 담론
Ⅳ. 풍류세태의 주변인물
Ⅴ.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지역 해양문학의 문화론
- 광복기 아동지와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 <蔡世英이야기>를 통해본 16세기 風流世態의 한 단면
- <사씨남정기>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 분석-규장각 소장본과 장서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 부산지역 문예지의 지형학적 연구-문학운동론적 관점에서
- 나라잃은시기 아동잡지로 본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 카프의 매체 투쟁과 프롤레타리아 동요집 『불별』
- 1950년대 전쟁기 피난문단과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 매체 연구
- 申采浩 詩의 성격과 詩論의 向方
- 일제 강점기 일간지를 통해 본 경남·부산지역 아동문학-시대일보·중외일보·매일신보(1910-1930) 소재 동시를 중심으로-
- 근대적 '시간'관념과 문학의 존재방식-양건식의 <귀거래>를 중심으로
- 眞靜國師의 二元的 世界觀과 文學的 指向
- 영화 <올드보이>의 주체 소멸에 관한 서사론적 연구
- 이효석의 <山>과 <들>에 나타난 자연의 성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