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적 은유와 철학적 은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수사학』의 비교를 통해 본 해체론의 은유 읽기
이용수 519
- 영문명
- On Literary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Metaphor. A Deconstructive Reading of Metaphor in Aristotle's Poetics and Rhetoilc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최영진(YoungJeen Choe)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9권 제2호, 235~25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has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compare different aspects of metaphor in Aristotle's Poetics and Rhetoric, while the second is to examine how Derrida reinscribes the traces of metaphor to his reading and critique of the metaphysical thinking m Plato and Aristotle
Poetics is a text devoted to the study of principles for constructing the literary artifact, while Rhetoric is concerned with techniques of persuading the audience The difference m the purpose of each text leads to the different conception of metaphor In Poetics, metaphor can only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hierarchy of parts in tragedy (i e, plot, character, thought, diction, etc), since the poetic treatment of speech has to do with the oiganization of the speech with its arrangement o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notion of metaphor in Rhetoric functions as an effective means of persuading audience and conveying information Derrida connects this notion of metaphor to mimesis, and therefore, to Poetics He argues that the whole notion of grounding m the sense of what is proper, ordinary, or appropriate (as opposed to what is extraordinary, unusual) in the metaphor of the sun is itself a part of the whole elaborate figurative system In that sense, Derrida eventually transports semantic aspects of literary language (i e, metaphor) into its metaphysical aspect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시학』에 나타난 은유
Ⅲ. 『수사학』에 나타난 은유
Ⅳ. 데리다의 은유 읽기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픽션: 테크놀로지와 이데올로기
- 후기인쇄문화로서의 가상공간: 소설미학과 디지털 내러티브
- 네그리뛰드와 민족주의: 셍고르와 쎄제르
- 문화적 은유와 철학적 은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수사학』의 비교를 통해 본 해체론의 은유 읽기
- A Possibility of Reinstating the Ethical Dimension: Adorno's Critique of Kant's Moral Philosophy and Freedom
- 성차이, 여성성, 남근기 논쟁-여자는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 프로이트와 존스
- 료따르의 라깡적 읽기: "비인간적인 것", "포스트모던", "숭고"와 관련하여
- 들뢰즈와 베케트: 철학과 문학의 공통기호들(Ⅰ) - 감각의 논리로 그린 그림, Footfalls
- 『힐다의 책』의 텍스트의 물질성
- 파란츠 파농과 '민족'의 정치학
- Literature as a Philosophy: Benjamin and Deleuze
- 사랑의 윤리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