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네그리뛰드와 민족주의: 셍고르와 쎄제르
이용수 218
- 영문명
- Negritude and Nationalism: Leopold Sedar Senghor and Aime Cesaire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김준환(Joon-Hwan Kim)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9권 제2호, 5~3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re-shapes the notions of "negritude" and "nationalism" in terms of "strategic essentialism" which provided Leopold Sedar Senghor and Aime Cesaire with the Joci of resistance to colonialism during the 1930s The two concepts have been criticized as sentimental or nostalgic "nativism" and/or oppressive "essentialism" m a pejorative sense especially since 1960s and 1970s, however, Senghor's and especially Cesaire's notions of "negritude" and "African nationalism" were historically specific counter-discourses to the French discourse of Africanism under the "direct rule" of French colonialism as distinguished from the "indirect rule" of English one In the making of the counter-discourse of "negritude" and "African nationalism" as opposed to the French colonialist discourse, Senghor tended to show the nativist or essentialist notions of Africa while Cesaire's did the surrealist or deconstructive ones However, they shared the idea that "negritude" and "African nationalism" as the emancipatory discourse of decolonialization did not refer to essential "temperaments" or "states" of black Africa but to Its "actions" or "movements" in the concrete historical contexts
목차
Ⅰ. 글을 시작하며
Ⅱ. 네그리뛰드와 민족주의의 정의와 쟁점
Ⅲ. "전략적 본질주의"로서의 네그리뛰드와 민족주의
Ⅳ. 셍고르와 쎄제르
Ⅴ.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픽션: 테크놀로지와 이데올로기
- 후기인쇄문화로서의 가상공간: 소설미학과 디지털 내러티브
- 네그리뛰드와 민족주의: 셍고르와 쎄제르
- 문화적 은유와 철학적 은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수사학』의 비교를 통해 본 해체론의 은유 읽기
- A Possibility of Reinstating the Ethical Dimension: Adorno's Critique of Kant's Moral Philosophy and Freedom
- 성차이, 여성성, 남근기 논쟁-여자는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 프로이트와 존스
- 료따르의 라깡적 읽기: "비인간적인 것", "포스트모던", "숭고"와 관련하여
- 들뢰즈와 베케트: 철학과 문학의 공통기호들(Ⅰ) - 감각의 논리로 그린 그림, Footfalls
- 『힐다의 책』의 텍스트의 물질성
- 파란츠 파농과 '민족'의 정치학
- Literature as a Philosophy: Benjamin and Deleuze
- 사랑의 윤리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화 <작은 아씨들>의 리메이크 전략: 멀티모달리티를 중심으로
- 코퍼스 분석을 기반으로 한 『빌레트』의 서술적 특징 연구
- 백인 교외의 ‘좋은 삶’에서 배제된 모성과 시민권: 셀레스트 잉의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