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논문] 경상북도 永川邑城의 空間構造와 그 變化

이용수  650

영문명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Yeongcheon Castle County, Gyeongsang Province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양보경(Bo-Kyung Yang) 민경이(Kyung-I Min)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16권 제3호, 45~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천읍성은 1591년 군수 元土容이 행정 군사적 목적으로 신축하였으며, 평지와 산지의 지형적 특성을 살린 方形의 平山城이었다. 읍성의 공간구조는 성외 남쪽의 성황단과 성내의 문묘를 제외하면 대체로 조선시대 일반적인 읍성 공간배치에 따르고 있다. 중심시설인 객사와 동헌은 十字形 도로의 교차점과 성내 상부에 자리하여 중심성과 위계성을 동시에 갖추었다. 의례시설인 사직단과 여제단은 城外 마현산 자락 서쪽과 북쪽에 각각 위치하였으며, 그의 창고 및 상업시설은 성 안팎으로 고루 분포하였다. 읍성은 일제강점기에 급속히 파괴되고, 성내 13개 洞里가 창구, 과전, 문내, 문외, 교촌, 성내의 6개 등으로 통합되었다. 성내 공간구조의 변화에는 새로운 도시설비와 도로의 건설이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내를 관통하는 영천-청송 간 3등도로에 의해 객사가 양분되었고, 기존의 전통적인 十字形 도로가 축소되면서 대구 -경주간 2등도로와 동해중부선 철도가 교통의 중심축으로 부상하였다. 객사와 동헌의 파괴는 성내공간의 중심성과 역사성이 궤멸되는 순간이었다. 외압에 의해 영천읍성의 전통적 공간이 해체되는 가운데 식민지 수탈과 통치를 위한 행정시설 및 도로망이 확충되었으며, 상공업 가능이 강화되는 변화가 이어졌다.

영문 초록

Eupseongs(castle counties) used to represent the traditional town landscap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store Yeongcheon-eup to Its original shape This essay in particular reviews how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astle county chang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square Yeongcheon castle was built in the 1591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upsong is in accordance with the typical arrangement of Eupsongs during the Joseon period In addition, roads were built inside the castle in a typical cross-shape Yeongcheon-eupsong went through major changes during the Japanes colonial period due to the construction of new roads and various facilities The gaeksa, which used to be a central feature of eupseong, was destroyed and the existing crossroads have been reduced giving way to the newly established roads and rad way The dongheon was used as a county office and new buildings of police stations and post box were built inside the castle for efficient colonial control and administration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연구지역 개관
3. 永川邑城의 역사와 입지
4. 조선시대의 永川邑城
5. 일제식민지강점기 영천읍성의 변화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보경(Bo-Kyung Yang),민경이(Kyung-I Min). (2004).[논문] 경상북도 永川邑城의 空間構造와 그 變化. 문화역사지리, 16 (3), 45-64

MLA

양보경(Bo-Kyung Yang),민경이(Kyung-I Min). "[논문] 경상북도 永川邑城의 空間構造와 그 變化." 문화역사지리, 16.3(2004): 45-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