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논문] 경상도 邑治 경관의 역사지리학적 복원에 관한 연구 : 南海邑을 사례로
이용수 567
- 영문명
- The Historical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최원석(Wonseok Choi)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16권 제3호, 19~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경상도 읍치를 입지 영역 장소경관이라는 차원의 조명을 통하여 당시의 인식 및 이해체계를 준거로 읍치 경판을 解讀하고 역사지리학적인 복원을 시도한 것이다. 읍치의 자연지형적 입지는 海邑ㆍ 江邑ㆍ山邑 ㆍ野邑 등의 유형 분류가 가능하며, 읍치의 풍수지리적 입지는 鎭山 (혹은 主山), 四神砂 국면, 裨補 등의 정형적 패턴과 지역적 특수성이 나타난다. 읍치의 역사적 입지와 특성을 논구하기 위해서는 읍치 형성의 역사적 배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행정적 위계, 戶口 및 田結數 등은 邑格을 규정짓는 요소가 된다. 읍치의 영역은 邑城圈, 제의권 , 행정권 (縣內), 鎭山 및 풍수권역 등으로 영역화될 수 있으며, 읍성, 행정 구역,I1廟 1社 2 壇, 裨補物, 四鎭砂 등은 영역화의 주요 지표가 된다. 읍치의 장소경관은 행정, 교육, 의례, 경제적 장소 등으로 구성되며 본고에서는 각각 요소의 위치 복원 및 배치 특성에 관하여 관심을 집중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s to elaborate on the historical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through the illumination of the location, territory, place landscape dimensions The topographical location can classified into sea-Eup town, river-Eup town, mountain-Eup town, plain-Eup town. The geomantic location factors are composed of the Main mountain, Sasinsa, Bibo The Important backgrounds of the historical location are the town class and the historical specific character The territorial landscape of Eup towns are made up a castle, administrative district, ritual district, geomantic bright yard district The place landscape sites of Eup towns can be restored to the administrative place, educational place, ritual place, economical place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입지경관
3. 영역 경관
4. 장소 경관
5. 맺음말
註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