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volution in the '-go isda'(-고 잇다) Construction toward the 'Progressiv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정언학(Jeong Eon-hak)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4집, 125~16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go isda’ construction in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meant the resultative continuance, stative continuance, and iterative continuance which covered a relative long time span, but the progressive which covers a relative short time span has not f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go isda’ construction had the constraint which only permitted the construction to be concatenated to a transitive verb. Thus contrary to the contemporary Korean the ‘-go isda’ construction could not be used with a intransitive verb. The ‘-go isda’ construction of the 17th century had not peculiarities contras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iddle Korean. In the late period of 18th century and the late period of modern Korean, some examples which meant progressive in ambiguous context can be identified. As a result there was a ambiguity which was interpreted as the possibility of change to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meaning progressive. And this fact can be interpreted as being more grammaticalized than middle Korean. The ‘-go isda’ construction of the 19th century did not any peculiarity contrasting the previous age, but in that time the construction had the status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meaning resultative. But it is hard to find the obvious example of the progressive before the civilizing time. In the literature the progressive ‘-go isda’ construction appear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has widened its distribution till the contemporary Korean. The resultative ‘-go isda’ auxiliary construction has changed to the progressive ‘-go issda’ auxiliary construction through grammaticalization through middle and modern Korean ages.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resultative ‘-go isda’ auxiliary construction from middle Korean to modern Korean had extended its power via grammaticalization. In this paper I tried catching the diachronic aspects of ‘-go isda’ construction in the viewpoint of grammaticalization.
목차
1. 서 론
2. 근대국어의 ‘-고 잇다’ 구성
3. 개화기의 ‘-고 잇다’ 진행 구성
4.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마도일기 수창시 연구 - 최익현ㆍ임병찬ㆍ홍주의사 구인의 수창시를 중심으로 -
- 양계초와 대한제국기 애국계몽문학
- 우리말 방언 성조 체계 설정 방법 - 대립과 중화에 바탕을 두고 -
- 현대시의 영상적 주체구성과 시각구조 - 황지우의 시를 중심으로 -
-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승의 인물 유형과 문학적 기능
- '-고 잇다' 구성에서의 '진행' 의미 발전 양상
- 公州 地名의 語彙 硏究
- 허무로부터의 귀환과 욕망의 시학 - 천양희 시와 욕망의 구조 -
- 조정래 3大 소설 속의 인물 외양묘사 연구
- 심청전에 나타난 민간신앙의 반영양상과 기능
- 글쓰기에서의 오류 분석과 그 유형
- 고소설 <원회록>의 素材 分析
- 근대라는 기원, 시를 사유하는 방식 - '문명'에서 '문화'로 -
- 시남 이병태 저술의 자료적 가치 고찰
-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 文參議 所作「勤勉行實歌」의 檢討 吟味
- 충남 방언의 보조사(2)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