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Glossary of Place Name around Gongju, Chungnam Provinc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강병윤(Kang Byong-lyu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4집, 5~53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01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the place name around Gongju, Chungnam province into three elements, i.e. division element, anterior element and posterior element so as to extract a list of glossaries for each element. Furthermore, it aimed to clarify the usage, frequency, etymology, significance, etc. of those elements. Division element is optional in the word formation of place name. A list of glossaries includes sae(새), shin(新), gu(舊), keun(큰), dae(大), jageun(작은), soh(小), ap(앞), dui(뒤), ahn(안), nae(內), baggat(바깥), ui(위), sang(上), gaundae(가운데), jung(中), arae(아래), hah(下), dong(東), seo(西), nam(南), saet(셋), naet(넷), sah(四), nopeun(높은) and so forth. In fact, all of these are the basic glossaries that are very often used in our daily life. Anterior element is requisite for the formation of place names. In case of
Gongju, about 400 glossaries are applicable to anterior element. All anterior elements except several obsolete words are very often used in our daily life. They are actually in deep connection with our life and can be easily found in neighboring mountains or fields. In the light of etymologic significance, those regional glossaries can be subdivided into nature or environment, plant, animal, astronomy, location, facilities, vessel and utensil, industry, belief(religion), family name, human being, number,
action or temperament. Posterior element implying the type of each place name is also requisite for the formation of place name. Out of all posterior elements used as the place names around Gongju, it is notable that 22 glossaries are used 10 times or more frequently, such as ‘geori(거리), gogae(고개), gol(골), ul(울), naru(나루), nae(내), dari(다리), dang(堂), deul(들), ddeum(뜸), maru(마루), mal(말), meori(머리), mok(목), mi(미), bawi(바위), shil(실), -i(-이), jae(재), jeol(절), teo(터) and ti(티)'.
목차
Ⅰ. 序 論
Ⅱ. 分割要素의 語彙
Ⅲ. 前部要素의 語彙
Ⅳ. 後部要素의 語彙
Ⅴ. 要 約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마도일기 수창시 연구 - 최익현ㆍ임병찬ㆍ홍주의사 구인의 수창시를 중심으로 -
- 양계초와 대한제국기 애국계몽문학
- 우리말 방언 성조 체계 설정 방법 - 대립과 중화에 바탕을 두고 -
- 현대시의 영상적 주체구성과 시각구조 - 황지우의 시를 중심으로 -
-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승의 인물 유형과 문학적 기능
- '-고 잇다' 구성에서의 '진행' 의미 발전 양상
- 公州 地名의 語彙 硏究
- 허무로부터의 귀환과 욕망의 시학 - 천양희 시와 욕망의 구조 -
- 조정래 3大 소설 속의 인물 외양묘사 연구
- 심청전에 나타난 민간신앙의 반영양상과 기능
- 글쓰기에서의 오류 분석과 그 유형
- 고소설 <원회록>의 素材 分析
- 근대라는 기원, 시를 사유하는 방식 - '문명'에서 '문화'로 -
- 시남 이병태 저술의 자료적 가치 고찰
-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 文參議 所作「勤勉行實歌」의 檢討 吟味
- 충남 방언의 보조사(2)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