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versity of Gasa in Late-Chosun Dynasty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서영숙(Seo Young-sook)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1집, 135~1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4.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f Gasa in late-Chosun dynasty. the diversity of the selected Gasa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selected Gasa belong to two categories, i.e. one is Inmul Gasa which characterize the special person. and the other is Oryun Gasa which is a kind of instruction Gasa.
Inmul Gasa had more develop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Gasa, then it had been closed to the novel. These aspects are as follows:
1) Making a distance through the comic description
2) Progressing scenes through the dialogues
3) Contrasting stories through frame structure
Oryun Gasa reveals the various different methods in narration. Those can be classified with three types, i.e. direct instruction, indirect suggestion,
and discussion type. These various narrating methods were devised for the purpose of persuading them more efficiently than of instructing readers.
This diversity of Gasa was formed by the interaction with novels and had remarkabl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Gasa. It is the positive reaction for the change of periodical situation. It seems that the traditional morality of late-Chosun dynasty had been confronted with the challenge of new morality.
The diversity of Gasa should be highly evaluat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목차
1. 머리말
2. 문제적 인물의 형상화
3. 다양한 서술방식의 복합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李知白의 『金華遺稿』에 대하여
- <옥중금낭>과 <정수경전>
- '부르다'의 인지의미와 목적어의 의미 틀
- 우화소설 <호섬전>의 작자 추정과 주제의식
- 조선 후기 가사의 다양성-인물형상과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 19세기 이후 대전·충남지역 漢詩會 活動 調査硏究
- 공간의 이중구조와 중재자로서의 역할-金東里의 <바위>를 중심으로-
- 「메밀꽃 필 무렵」의 등장 인물들의 정신구조 고
- 근대적 욕망의 추구와 서사화 방식-1910년대 소설의 고학생 모티프와 '자본'의 논리-
- "화랑의 후예"의 담론 분석과 윤리 의식 연구
- 南坡 金天澤의 時調 認識과 時調史的 意義
- <동상기>의 서민적 작품 성향
- 일제하 상해 지역 소설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