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Chinese-Korean Novels in Reform-Opening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정덕준(Chung Duk-Jo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한국언어문학 제51집, 655~6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intends to make a scrutiny into the Chinese-Korean novels from the middle half of 1970's, and make clear the special quality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novels in these periods.
In these periods, China pursues the policy of Reform-Opening and economic construction. likewise, the freedom of creation is partly accepted, so the literature escapes the bondage of policy, and begins to recover the proper shape of literature itself.
The Chinese- Korean novels in these periods are influenced by the Chinese literature. Moreover, they describes the phase of change of Chinese-Korean society. 'the novel of social conditions' which describes truthfully the Chinese-Korean daily life, and 'the novel of slash', and then 'the novel of reflection' are rightly those.
After the latter half of 1980's, the Chinese-Korean novels attempts the interchange with Korea. In result, the scope of subject matter of work is deepened. Besides, the theme of work, creative technique are also diversified The pursuit to the human substance, the concern about vivid self-discovery, the desire for existence of Chinese-Korean and change in the thinking-method are those. Moreover, the novels in this period adapt the historical fact as the subject, so reflect the history of revolutionary struggle of Chinese-Korean and their history of immigrant thematically. In addition to, they excavate the national spirit and show it exactly.
The novels in this period develops with priority given to the short-story. But after the latter half of 1980's, the capable writers publish the medium-length Story, and the full-length story. This is an outcome of Chinese-Korean novel in new age.
However, the diversified eyesight and objective spirit of times are demanded more thoroughly. In other words, the novels of Chinese-Korean must habe the open vision about other countries' literature and life. Specially, in the society of Chinese-Korean which confronts with the reformation and open, the clash between original value and new value is inevitable. So the novel of Chinese- Korean must think ahead and express the various aspect of change broadly.
목차
1. 서언
2. 개혁개방, 사실주의로의 복귀
3. 창작의 자유, 관심 영역의 확산
4.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고전문학 분야 수록논문분석
- 쥬봉젼 硏究 - 崔尉子傳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 설화 연구의 대중화 가능성
- 비평 행위와 현실 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임화의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
- 우리 상징주의와 낭만주의 다시 쓰기
- 이효석의 「산협」에 나타난 초점화 연구
- 물의 轉化와 闘爭의 歷史 - 曺雲 「九龍瀑布」의 唯物論的 解釋 -
- 문학생태학의 미학적 과제 - 『관촌수필』과 속도 -
- 방사상 수사와 디지털 텍스트 읽기 - '아햏햏'과 '언어의 새벽'의 소통구조를 중심으로 -
- 『번역노걸대』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 『태평천하』의 풍자 방법에 대한 연구
- 개혁개방 시기 재중 조선족 소설 연구 - 1976~1995년대 전반기 작품을 중심으로 -
- 『한국언어문학』 국문학 분야 수록논문분석
- 한국 근현대문학에 나타난 가족담론의 전개와 그 의미: 현대시
- 申弘遠의 四友列傳 硏究
- 『한국언어문학』 현대문학 분야 수록논문분석
- 李睟光의 遊仙詩와 꿈의 관련양상 연구
- '李茂實 書 丁巳本'『千字文』연구
-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진언표기 연구
-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명 어휘 데이터베이스의 한 모색
- 예산문고본 <훈몽자회>에 나타난 사이ㅅ 연구
- 어간말 자음군의 변이 유형과 그 지리적 분포
- 申緯와 王維 詩의 比較 考察
- 百濟 漢文學의 文獻的 資料 硏究
- '르'변칙 활용의 음운론적 고찰
- 지역전통의 형성과 누정문학의 전개 - 全南 長城郡 黃龍面 소재 邀月亭을 중심으로 -
- <江陵秋月玉簫傳>의 離合構造와 音樂의 關係 - 玉簫를 중심으로 -
- 전전(戰前) 세대의 소설에 나타난 유교적 휴머니즘 일고(一考) - 김이석 소설의 '선량한 인물'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