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nsidering Writing as a Primary Modality for Learning English
이용수 73
- 영문명
- Considering Writing as a Primary Modality for Learning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Tae-Eun Kim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1권 제2호, 173~20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earning to write in a second language is a critical part of the acquisition of a second language, just as important as reading and speaking abilitie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ortance of writing in acquiring a second language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puts forth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writing, especially writing for early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review of literature articulates issues regarding second language writing, including the place of writing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theories and children's learning to write in a second language. In an attemp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ngagement in learning English, this case study us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o explore the pivotal roles of writing engagement in promoting learning of content. The findings that writing could serve as an efficient way to learn content as well as language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writing into English language learning, while calling for a closer examination of the writ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 Review of Literature
Ⅲ. Case Study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Pedagogical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 협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적인 협동 수업의 방향
- 초등학교 영어 자율학습을 위한 말하기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 예비교사 수업장학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Learner Empowerment in General English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 『초등영어교육』 게재 논문 목록(1995-2005)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초등학교 영어 인증제의 실태 분석
- The Teacher Talk of a Native English Speaker Teaching English in a Primary School
- Considering Writing as a Primary Modality for Learning English
-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영어 CD-ROM 타이틀 분석 및 개선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