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 수업장학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203
- 영문명
-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a model for pre-service teacher supervis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장경숙(Chang Kyung-Suk) 박미애(Park Mi-Ae)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1권 제2호, 33~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ddresses itself to two questions regarding the supervis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should carry out the work of supervision?' and 'How can it most skillfully be don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seems to be that, for a variety of reasons, university teachers and mentors appear best suited to do the supervision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re-service teachers. The assumption that seems to underlie the collaborative supervision is that field-based experiences are necessary and useful componen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pre-servi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of how to carry out supervision in a pre-service context,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reveals that pre-service teachers benefit from interactive and non-judgemental supervision in areas such as lesson planning.. question strategy and class management The study suggests that a non-judgemental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judgemental supervision, as a way to make teacher supervision more meaningful and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ong-term profession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a continued exploration of models of teacher supervision and evaluation of their effectiveness will help pre-service teachers, supervisors and mentors learn more about teaching and improve their own teach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 협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적인 협동 수업의 방향
- 초등학교 영어 자율학습을 위한 말하기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 예비교사 수업장학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Learner Empowerment in General English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 『초등영어교육』 게재 논문 목록(1995-2005)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초등학교 영어 인증제의 실태 분석
- The Teacher Talk of a Native English Speaker Teaching English in a Primary School
- Considering Writing as a Primary Modality for Learning English
-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영어 CD-ROM 타이틀 분석 및 개선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