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악교정 수술 후 과발산형 안모 및 입술폐쇄부전을 보이는 환자의 상악 전치열 함입 치험례
이용수 0
- 영문명
- Total arch intrusion of the maxillary arch in a patient showing hyperdivergent facial profile and lip incompetence after orthognathic surger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 저자명
- Sumin Hong Harim Kim Sun Hyung Park
- 간행물 정보
- 『연세임상교정』제32권 제2호, 121~13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악교정 수술 후 안면 고경 증가와 입술폐쇄부전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관계가 관찰된 환자에서, 생역학적 고찰을 기반으로 전상악 치열 함입을 통해, 부가적인 수술 없이 교정적으로 기능과 심미를 모두 개선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 20세 여성 환자가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교정 치료 상담을 위해 내원하였다. 임상 및 방사선적 평가를 기반으로, 안면 비대칭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경향의 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하였다. IVRO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와 genioplasty를 동반한 악교정 수술 후, 환자는 술전 계획과 달리 과발산형 안모 및 입술폐쇄부전과 함께 골격성 II급 관계를 보였고, 하악의 후방 이동이 관찰되었다. 이후 상악 전치열 압하를 동반한 술후 교정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치료기간은 총 27개월이 소요되었다.
결론: 악교정 수술 전 시뮬레이션과 다른 방향으로 수술이 시행되어, 기능적 불편감과 부자연스러운 측모가 초래되었다. 교정용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전치열 압하를 통해 기능적 문제와 측모를 개선하였다. 치료 결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장기적인 관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영문 초록
Purpose: A patient presented with a skeletal Class II relationship accompanied by an increased facial vertical dimension and lip incompetence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This report introduces a case in which both function and aesthetics were orthodontically improved without additional surgery by intruding the maxillary dentition based on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Case Report: A 20-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for an orthodontic treatment consultation with facial asymmetry as the chief complaint. Based on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with a skeletal Class III tendency, accompanied by facial asymmetry.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volving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and genioplasty, the patient exhibited a skeletal Class II relationship contrary to the presurgical plan. In addition, a hyperdivergent facial pattern, lip incompetence, and posterior repositioning of the mandible were observed. Subsequently,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involving intrusion of the maxillary dentition was conducted, and the total treatment duration was 27 months.
Conclusion: Because the surgery was perform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presurgical simulation, it resulted in functional discomfort and an unnatural profile. Both functional problems and the profile were improved by intruding the maxillary dentition using orthodontic mini-screws. Long-term follow-up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the stability of the treatment outcomes.
목차
서론
증례
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입술의 부조화와 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노년 환자에서 하악골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통한 안모개선 치험례
- 횡적 부조화와 교합 간섭에 따른 불안정한 교합을 가진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의 교합 재구성 치험례
- Wire syndrome; 그 원인과 대처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