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배경 어머니의 민족사회화와 자녀 발달:다문화 정체성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Immigrant Mothers’ Ethnic Socialization and Adolescent Development: Multicultural 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김형렬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2권 제4호, 119~14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주배경 어머니의 민족사회화 방식이 청소년 자녀의 다문화 정체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 중 어머니-자녀 매칭이 가능한 8,296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일반 최소제곱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자녀의 학업성적과 차별경험을 고려한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이주배경 어머니의 문화 전수 사회화는 자녀의 학교적응과의 뚜렷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다문화 정체성 형성에서는 자녀의 학업성적과 차별 경험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는 조건부 영향을 나타냈다. 반면, 이주배경 어머니의 차별 대처 사회화는 다문화 정체성보다는 학교적응과 더 밀접하게 연계되었으며, 자녀의 학업성적 수준에 따라그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배경 어머니의 민족사회화가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자녀의 학업성취 수준이나 차별 경험 여부와 같은 맥락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한국 맥락에서의 민족사회화 연구를 확장하고, 이주배경가정을 위한 학부모 교육 및 정책 지원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immigrant mothers’ ethnic socialization practi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Using data from the 2021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a matched sample of 8,296 mother–child pairs and conduct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including interaction terms fo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The results show that cultural transmission socialization by immigrant mothers did not exhibit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however, it had conditional effects on multicultural identity, depend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In contrast, preparation-for-bias socialization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than with multicultural identity, and its influence varied by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serving as a protective factor for those with lower achievement but undermining adjustment for higher-achieving adolesc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migrant mothers’ ethnic socialization exerts context-dependent effects shaped by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experie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extending ethnic socialization research in the Korean context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and policy support for immigrant families.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렬. (2025).이주배경 어머니의 민족사회화와 자녀 발달:다문화 정체성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12 (4), 119-145

MLA

김형렬. "이주배경 어머니의 민족사회화와 자녀 발달:다문화 정체성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12.4(2025): 119-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