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제한형 중재가 인터넷 사용시간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 다집단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rough Time Spent Online among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A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송수원 박예슬 임승철 박주희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5권 제3호,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mediating role of time spent onlin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differed by gender. Participants were 596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291 boys, 48.8%) from elementary schools.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time spent online,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controlling for cyberbullying victim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did not directly predict cyberbullying perpetration for either boys or girls. Second,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ime spent online for both boys (β = −.41, p < .001) and girls (β = −.37, p < .001), indicating that greater parental restriction was associated with less online activity. However, time spent online significantly predict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only among boys (β = .22, p < .001), suggesting that boys who spent more time online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cyberbullying.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via time spent online was significant only for boys (B = -.004, 95% CI = [-.004, -.001]).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influences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rough time spent online, with notable gender differenc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와 놀이하는 아이들: 유아의 인공지능 기기와의 경험 연구
- 0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녀 가치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놀이상호작용이 초등학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만5세 학교준비도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의 이중매개효과 및 대학진로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용 대인관계 소진 개념화 및 척도 개발
- 부모의 제한형 중재가 인터넷 사용시간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 다집단분석
- 남성참여 가족프로그램에 대한 남성의 인지와 요구: 남성 개인 변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