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용 대인관계 소진 개념화 및 척도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Conceptualization and Development of an Interpersonal Burnout Scale fo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이현우 김재철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5권 제3호, 79~1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conceptualized interpersonal burnout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developed a psychometrically rigorous measurement scale to assess its four core dimension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highlighted the psychological impact of unmet interpersonal needs and failed coping responses as key contributors to burnout. The construct was refined using a Delphi survey involving ten experts and eight university students. Distinct subfactors of burnout were then identified. Subsequently, a preliminary survey (N = 276) and a main validation survey (N = 968)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 scale’s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validity. Interpersonal burnout is defined as a profound and sustained state of psychological depletion that arises when interpersonal demands exceed coping capacity, resulting in a persistent sense of hopelessness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final instrument comprised 27 items across four subscales: four subscales: intrapersonal exhaustion (physical and emotional), relational exhaustion (physical and emotional), behavioral exhaustion, and cognitive exhaustion. Empirical analyses revealed a coherent factor structure, strong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each subscale, and positive convergent validity. This demonstrated that the scale effectively differentiated participants’ levels of interpersonal burnout. By extending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burnout theory to the interpersonal domain,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tool for early detection and targeted intervention strategies in university contexts. The scale’s focus on distinct subfactors of burnout supports tailored prevention efforts and research applications for students’ mental health.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와 놀이하는 아이들: 유아의 인공지능 기기와의 경험 연구
- 0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녀 가치의 조절효과
- 유아기 또래놀이상호작용이 초등학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만5세 학교준비도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의 이중매개효과 및 대학진로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용 대인관계 소진 개념화 및 척도 개발
- 부모의 제한형 중재가 인터넷 사용시간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 다집단분석
- 남성참여 가족프로그램에 대한 남성의 인지와 요구: 남성 개인 변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