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태극도」의 생성과정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reation Process of “Taegeukdo(太極圖)”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문화교차연구소
저자명
유영관
간행물 정보
『문화교차연구』제1권 제1호, 25~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극도」의 그림의 일부가 위백양(魏伯陽)의 참동계에 수록된 수화광곽도(⽔⽕匡廓圖)와 삼오지정도(三五⾄精圖)의 그림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태극도」도상의 기원과 전송 경로를 탐색한다. 그러나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에 의하면 「태극도」는 주돈이의 작품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위백양의 참동계에 의하면다음과 같은 반론을 예상할 수 있다. 「태극도」는 오로지 주돈이 혼자만의 아이디어에서 나온 창작물은 아닐 수 있다. 겉으로 보는 그림이 비슷하다면 안에 있는 내용 또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짐작을 하게 된다. 이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태극도」에 담긴 의미와 「수화광곽도」및 「삼오지정도」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야 했으며, 주돈이의 「태극도」가 어떻게 저자로 인정을 하게 되는지 밝혀보고자 했다. 「태극도」는 진단(陳摶)으로부터 전수받았다고 하기도 하고, 주희(朱熹)는 주돈이(周敦頤)의 작품이 확실하다고 한다. 또한 도교의 영향을 받아 모방하였다고도 한다. 이를 살펴본 결과 주돈이의 저작으로 인정할만 하였다. 물론 도교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는 시대적인 상황도 살펴보았다. 위백양(魏伯陽)이 지은 참동계에 수록된 「수화광곽도(⽔⽕匡廓圖)」와 「삼오지정도(三五⾄精圖)」는 도교에서의 수련법으로 사용하던 내용으로 주돈이는 그림을 차용해 왔지만 「태극도」에 대한 안의 내용은 전혀 다른 차원의 철학이 담겨있다. 이 연구는 주돈이의 「태극도」가 도교의 수련법하고는 아주 다르며 주돈이의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밝힌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ows that some of the drawings in the "Taegeukdo(太極圖)" are similar to the drawings in the "Su-Hwa-Gwang -Gwak-Do(⽔⽕匡廓圖)" and the "Sam-o-ji-jeong-do(三五⾄精圖)" included in Wei Boyang(魏伯陽)'s "Cham-dong-gye(參同契)." However, in the "Seonghak-sip-do(聖學⼗圖)", it is explained that the "Taegeukdo(太極圖)" was created by Zhou Dunyi(周敦頤). This suggests that it was not a creative work that came from his own ideas. If the drawings are similar,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ntents inside are not very different.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is, it was necessary to know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Taegeukdo(太極圖)" and the meanings of the "Su-Hwa-Gwang -Gwak-Do(⽔⽕匡廓圖) and the "Sam-o-ji-jeong-do(三五⾄精圖)", and to clarify how Zhou Dunyii(周敦頤)'s "Taegeukdo(太極圖)" was recognized as the author. It is said that the "Taegeukdo(太極圖)" was handed down from Jindan(陳摶), and Zhu Xi(朱熹) said that it was definitely the work of Zhou Dunyi(周敦頤). It is also said that it was imitated under the influence of Taoism. After examining this, it is recognized as the work of Zhou Dunyi(周敦頤). Of course, there are circumstances of the time that could not avoid the influence of Taoism. The "Su-Hwa-Gwang-Gwak-Do(⽔⽕匡廓圖)" and the "Sam-o-jijeong-do(三五⾄精圖)" included in "Chamdonggye(參同契)" written by Wei Boyang(魏伯陽) were used as training methods in Taoism, and Zhou Dunyi(周敦頤) borrowed the drawings, but the content of the "Taegeukdo(太極圖)" contains a philosophy of a completely different level. This study revealed that Zhou Dunyi(周敦頤)'s "Taegeukdo(太極圖)" is very different from Taoist training methods and is a work that contains Zhou Dunyi(周敦頤)'s philosophy.

목차

Ⅰ. 서론
Ⅱ. 「태극도」의 저작 유래
Ⅲ. 도교에서의 「태극선천지도」
Ⅳ. 유학으로서의 「태극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관. (2025).「태극도」의 생성과정 고찰. 문화교차연구, 1 (1), 25-46

MLA

유영관. "「태극도」의 생성과정 고찰." 문화교차연구, 1.1(2025): 2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