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Role of Informal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위민주 장지현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44권 제3호, 85~1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이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 검토하였다. 특히 커뮤니케이션이 무형식학습을 향상시키고, 무형식 학습이 다시 조직몰입을 강화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HCCP 데이터를 활용하여, 10,759명의 근로자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무형식학습,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할수록 구성원의 무형식학습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할수록 구성원이 조직에 대해 더 높은 정서적 애착과 몰입을 보였다. 셋째, 무형식학습은 조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커뮤니케이션이 직접적으로 조직몰입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무형식학습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ediating role of informal learning.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process by which communication enhances informal learning, which in turn strengthen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from the HCCP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utilized, and responses from 10,759 employe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reveal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smoother communic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informal learning among employees. Second, more active communication fostered strong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formal learning not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promotes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while also exerting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informal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장년 구직자의 취업불안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 역량과 학력수준의 복합적 조절효과
- 조직지원인식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업무그릿의 매개효과
- 진로유연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