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한 대졸 청년 미취업자의 직업가치 유형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Work Value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정 이은택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4권 제3호, 61~8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 청년 미취업자들의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하여 직업 선택 동기에 따른 개별화된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2021의 3차 자료를 활용하여 직업가치 잠재집단을 분류하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교차분석을 통해 잠재집단별 취업준비 실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대졸 청년 미취업자의 직업가치 유형은 ‘성취회피형’, ‘가치부재형’, ‘개인지향형’, ‘발전 추구형’의 총 4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대졸 청년 미취업자들은 직업 선택 시 경제적 보상을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다음으로 직업안정, 성취, 심신의 여유, 자율, 지적추구, 개인지향, 다양성/이타 순으로 직업 선택 시 중요한 직업가치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직 시 어려움은 전체 집단에서는 응답빈도가 높은 5개 요인으로 경력부족, 정보부족, 적성 미파악, 심리적 부담감, 수입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다양한 유형의 청년 구직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제도적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더불어, 개인에게는 직업가치의 정립과 이를 기반으로 한 구직활동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기업은 세대별로 변화하는 직업가치의 이해와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work values that influence the career choice of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in Korea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For this purpose,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third wave of the 2021 Youth Panel Survey, and the job-seeking status of each latent group was examined through cross-tabulation analysis. As a result, the latent profiles of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work valu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hievement-Avoidance Type', 'Value-Absence Type', 'Individuality-Seeking Type', and 'Growth-Oriented Type'. Across all groups, economic compensation emerged as the primary factor in career selection. This was followed by job security, achievement, work-life balance, autonomy, intellectual pursuit, personal orientation, and diversity/altruistic values. Regarding job-seeking difficulties, the five most frequently reported factors were lack of experience, insufficient information, lack of aptitude clarity, psychological burden, and income concerns.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establishing practical and targete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to assist young college graduates in their job 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정,이은택. (2025).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한 대졸 청년 미취업자의 직업가치 유형 탐색. 직업교육연구, 44 (3), 61-84

MLA

이은정,이은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한 대졸 청년 미취업자의 직업가치 유형 탐색." 직업교육연구, 44.3(2025): 6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