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응급실 간호사의 자살시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mergency Nurses’ Stigma Toward Suicide Attempters on Person-Centered Care: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심진영 권영란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30권 제2호, 169~1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ergency department (ED) nurses’ stigma toward individuals who attempted suicide on their person-centered care performance.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cluded 175 ED nurses from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measuring suicide-related stigma and person-centered care.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tigma score was 2.42 (±0.66), with the highest subdomain being incompetence. The mean score for person-centered care was 4.03 (±0.45).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tigma and person- centered care (r=−.23, p=.002), particularly in the subdomains of immorality (r=−.27, p<.001), incompetence (r=−.22, p=.004), and social exclusion (r=−.15, p=.04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mmorality (β=−.26, p=.007) and the frequency of caring for suicide attempters significantly predicted person-centered care (F=4.81, p<.001, Adjusted R =.17). Nurses who cared for suicide attempters once a week (β=.31, p<.001) or once a month (β=.22, p=.006)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erson-centered care compared to those who did so almost daily. Conclusion: ED nurses' moral judgment toward suicide attempters negatively affects their ability to provide person-centered care. Furthermore, high exposure frequency may lead to emotional exhaustion.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stigma reduction and sustainable mental health nursing are essential for enhancing care quality in emergency setting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급종합병원의 3교대 근무 간호사와 패턴형 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열의, 직무배태성 및 재직의도 비교
- Influences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COVID-19 Pandemic
- 응급실 간호사의 자살시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3D Mo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흡입기 사용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 혈액암 환자의 외상후성장 영향요인
- COVID-19 상황 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관련 요인을 확인한 국내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응급실 간호사의 자살시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3D Mo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흡입기 사용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