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 강점기 광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906년 부산안내지(釜山案內誌)에 나타난 광고를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A Historical Review of the Japan's Colonial Period into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advertisement that appeared in the 1906 Busan Guidebook
발행기관
한국OOH광고학회
저자명
유현중 박태열 신인섭
간행물 정보
『OOH광고학연구』제22권 제3호, 63~8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06년 한국 최초로 부산에서 개최된 국제박람회인 일한상품박람회를 기록한 부산안내지에 게재된 94건의광고 분석을 통해 당시 일본의 한국 시장 진출에 관한 일단을 탐색해보고자 진행되었다. 흔히 광고는 국내외 시장 진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1906년 당시 한국 시장 상황을 감안한다면 부산안내지라는 특정의인쇄물에 게재된 94건의 다양하고 많은 광고가 게재된 사료는 현재 국내에서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부산안내지에 게재된 광고들은 일본의 개항 이후 초기 30년간의 한국 시장 진출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안내지에 게재된 광고 분석을 위해 94건의 광고를 업종과 표현별로 구분해보았다. 먼저 업종별 분류에서는 34개 업종으로 나누었고, 당시 부산의 일본인 거류지 내에서 의식주에 관한 거의 모든 상업적인 활동이 활발하게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고의 표현별 분류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만 있는 광고 30개, 사진,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상표를 모두 이용한 광고 27개, 활자만을 사용한 광고 25개, 상표만을 제시한 광고가 12개로 나타나 시장 경쟁의정도가 심하지 않았던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1906년 일한상품박람회 개최 당시 일본의 한국 시장 진출이 이미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부산안내지에 게재된 94개 광고의 표현 방식도 부산이라는 새로운 광고시장의 제작 수준을 감안할 때 동시대 일본의 광고표현 수준에 비해 크게 뒤처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Japanese market entry into Korea at the time by analyzing 94 advertisements published in the Busan Guide, which recorded "The Exhibition of Merchandise of Japan-corea", the very first exhibition held in Busan, Korea in 1906. It is an established fact that advertis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ente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Korean market situation in 1906, the 94 diverse advertisements published in a single pocket-size Busan Guide is worth due attention and study.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advertisements published in the Busan Guide can provide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studying Japan’s entry into the Korean market during the "tremendous social transformation" taking place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in 1986. In order to analyze the advertisements published in the Busan Guide, this study classified the 94 advertisements by product categories and expression or creativity. First, the advertisements were divided into 34 product categories and it was found that almost all commercial activities related to food, clothing, shelter and other necessities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Japanese residential area in Busan at the time. In addition, when categorizing advertisements by expression, there were 30 ads with illustrations only, 27 using photos, designs, illustrations, and trademarks, 25 using only text, and the rest presenting only trademarks, which suggests that the level of market competition was not ripe yet. This study confirmed that when the Japan-Korea Trade Fair was held in 1906, Japan was already actively advancing into the Korean market, and that the creativity of the 94 advertisements published in the Busan Guide did not lag far behind the level of Japanese advertising considering lack of production facilities available to produce good advertisements in the new advertising market in Busan.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현중,박태열,신인섭. (2025).일제 강점기 광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906년 부산안내지(釜山案內誌)에 나타난 광고를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22 (3), 63-80

MLA

유현중,박태열,신인섭. "일제 강점기 광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906년 부산안내지(釜山案內誌)에 나타난 광고를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22.3(2025): 6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