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뮤지컬 공연의 랜덤 폴라로이드 증정 이벤트 마케팅 연구 : 마니아 관객의 지각된 교환가치, 커뮤니티 충성도가 티켓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Research on Marketing through Random Polaroid Giveaway Events in Musical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Enthusiastic Audience Perceived Exchange Value and Community Loyalty on Ticket 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장혜린 유승철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22권 제3호, 35~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소극장 뮤지컬의 마케팅에서 매우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랜덤 폴라로이드 증정 이벤트’를 연구했다. 분석 결과, 지각된 교환가치는 충동구매욕구에 강력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교환가치와 커뮤니티 충성도모두 FOMO를 매개하여 충동구매욕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충동구매욕구에서 유발된 예기된 죄책감은티켓 구매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기획사 진정성은 충동구매욕구와 티켓 구매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했지만 티켓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랜덤 폴라로이드 증정이벤트에서 기획사가 관객의 FOMO와 커뮤니티 기반의 ‘교환’이라는 제도 그리고 소비자의 정서적 요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느낄 죄책감을 줄이고, 기획사에 대한 신뢰성을 구축할 필요성도 함께 제기하면서중소극장 뮤지컬 업계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가 부족했던 중소극장 뮤지컬 업계의 이벤트 마케팅 관련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ndom Polaroid giveaway event, one of the most actively employed marketing practices for musicals in small and medium-sized theaters in Korea. The findings revealed that perceived exchange value exerted a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impulse purchase desire, and both perceived exchange value and community loyalty positively influenced impulse purchase desir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FOMO. Furthermore, anticipated guilt arising from impulse purchase desir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icket purchase intention, while agency authentic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icket purchase intention, despite its lack of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impulse purchase desire and ticket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ithin the context of random Polaroid giveaway events, production companies should strategically leverage FOMO, community-based “exchange” systems, and consumers’ emotional factors. They also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mitigating consumer guilt and building trust in the production company, thereby informing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theater musical industry. This study hold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value, as it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elatively underexplored field of event marketing research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theater musical sect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 방법
Ⅴ. 연구결과 및 분석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스마트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 동향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SNS 콘텐츠 특성에 따른 효과 분석 : 인스타그램 댓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 강점기 광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906년 부산안내지(釜山案內誌)에 나타난 광고를 중심으로
- 시장집중도를 활용한 옥외광고 매체평가 연구 : 신매체의 시장경제성 평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