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NS 콘텐츠 특성에 따른 효과 분석 : 인스타그램 댓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The Effects of SNS Content Characteristics : A Content Analysis of Instagram Comments
발행기관
한국OOH광고학회
저자명
조정식 이사미 호노카 성민정
간행물 정보
『OOH광고학연구』제22권 제3호, 81~11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화장품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통해 살펴보았다. 콘텐츠 유형과 모델 유무 및 유형, 국적에 따라 ‘좋아요’ 수, 댓글 수, 댓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양적 지표(좋아요·댓글 수)에서는 국가 간 차이가 없었으나, 댓글 내용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브랜드 중심 콘텐츠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고 감성적인 반응을 유도했으며, 한국 이용자들의 댓글은 길고 상호작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반면, 일본 이용자는 제품 중심 콘텐츠에 대해 짧고 정중하며 감정적으로 섬세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에서는 일반인 모델을 활용한 콘텐츠에 대한 제품 관련 반응이 많이 나타났으나, 일본에서는 모델이 없는 콘텐츠에 대한반응이 더 긍정적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인스타그램 댓글이 소비자와 브랜드 간 상호작용의 장으로 기능함을 의미하며, 국가별 소비자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소셜 미디어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responses to Instagram content posted by Korean and Japanese cosmetic brands through content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number of “likes”, the number and content of comments according to content type, presence and type of model, and nationality. The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quantitative indicators (likes and comment counts). However,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omment content. Brand-centered content elicited positive and affective reactions. Korean users’ comments tended to be longer and more interactive, whereas Japanese users responded to product-centered content with brief, polite, and emotionally nuanced remarks. Furthermore, in Korea, product-related responses were more frequent for content featuring non-celebrity models, while in Japan, content without models received more favorable rea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stagram comments function as a medium of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highlighting the need for customized social media strategies tailored to consumer characteristics in each countr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문제 및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식,이사미 호노카,성민정. (2025).SNS 콘텐츠 특성에 따른 효과 분석 : 인스타그램 댓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22 (3), 81-113

MLA

조정식,이사미 호노카,성민정. "SNS 콘텐츠 특성에 따른 효과 분석 : 인스타그램 댓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22.3(2025): 81-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