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요 선진국과 한국의 실내공기질 기준에 따른 비교 분석: 환경보건학적 관점에서
이용수 7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Standards in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South Korea: A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이승중(Seung-Jung Lee) 박상훈(Sang-Hun Park) 김성천(Seong-Cheon Kim) 이민희(Min-H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1권 제2호, 52~6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South Korea’s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is less strict in terms of pollutant limits, facility coverage, and enforcement compared to guidelines set by the WHO and certain major countries (EU, US, Japan). This study compares international standards in order to identify weaknesses in South Korea’s system and propose improvements, such as stricter standards and improved protection for vulnerable populations.
Objectives: To evaluate South Korea’s air quality policies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WHO and advanced nations, highlighting limitations and suggesting ways to enhance regulations and safeguard public health.
Methods: We compared indoor air quality standards across South Korea, the WHO,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using research papers, international reports, guidelines, and legal texts. The analysis focused on pollutants including PM10, PM2.5, CO, NO2, HCHO, and Rn, along with regulatory strength and enforcement structures.
Results: South Korea's standards are higher (weaker) than those set by the WHO for PM10(122.2%), PM2.5(233.3%), CO(14.5%), and Rn(48%), indicating potential health concerns. However, its NO2 standards are comparable or stricter than WHO guidelines, showing South Korea’s strengths in managing certain pollutants. Epidemiological studies suggest that for every 10 μg/m3 increase in PM2.5, lung cancer risk increases by approximately 8%,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tringent standards.
Conclusions: The study focuses on comparison of legal standards and offers limited insight into implementation. Future research should assess policy cost-effectiveness and long-term health impacts.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도심환경교통(Urban Air Mobility, UAM) 도입에 따른 소음 문제에 대한 시론 -UAM 소음의 특성과 잠재적 건강영향: 연구 방향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