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사철 관련 자료의 특성과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materials related to Iron Sand in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저자명
- 최영민
- 간행물 정보
- 『고문화』제105집, 59~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철 조업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문헌자료, 고고자료 및 금속학적 분석 결과 등의 사철을 원료로 한 제철조업 관련 자료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에는 이미 산사철이 점차 소멸하였고, 금속학적 분석결과 원료·철재의 성분의 특성이 다양한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반도에서는 일본의 간나나가시와 같은 사철 원료를 채취하는 방법을 활용하지 않고, 산이나 강, 해변에 퇴적된 사철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사철의 성분적 특성이 다양하였다. 또한 퇴적된 사철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항상 원료가 부족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에 사철 조업은 소규모, 단기조업으로 이루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양상으로 보았을 때 한반도의 사철 조업은 사철 원료를 사용하거나, 강철 등을 생산하기 위한 특수한 상황에서 활용되었고, 철광석을 원료로 한 제철 조업의 보조적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on the remains of iron production using iron sand as a raw material were based only on cases where metallurgical analysis showed iron with a high titanium conten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study first compared Japan's iron-smelting technology, Tatara iron-making technology, with the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Gimje Eungok iron-making site, a steel-smelting sit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melting furnace type, metallurgical analysis results, and products. Based on this, the metallurgical analysis results of the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nine ruins where metallurgical analysis was performed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raw materials, products, and by-product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titanium content in the raw material, iron sand, differed by reg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dium oxide, zirconium oxide, and vanadium oxide were found. In addition, products were mainly made of pig iron and wrought iron, and steel was found in small quantities. This is a difference from Japan. It was found that the by-product showed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raw material, and no additional additives were added.
Regarding the analysis results of modern iron sand raw materials, the common features of the iron sand from the Gyeongsang region were high titanium content with no vanadium. In the Jeolla reg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iron sand raw materials, which is deemed a regional difference in iron sand raw materials due to geology.
목차
Ⅰ. 머리말
Ⅱ. 사철 관련 문헌·고고자료의 검토
1. 문헌 자료의 검토
2. 고고 자료의 검토
Ⅲ. 사철 관련 자료의 금속학적 특성
1. 금속학적 분석 자료의 현황
2. 사철 및 관련 자료의 금속학적 특성
Ⅳ. 제철 원료로서 사철의 특징과 한계
1. 한반도 사철 원료의 특징
2. 사철 원료의 지역적 특성과 사철 조업의 한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