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조기 영남지역 목곽묘 부장 압형토기 祖形과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Form and Significance of Pressed-Pattern Pottery in the Wooden Chamber Tombs of Early Silla in the Yeongnam Region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이원태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105집, 7~3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신라 조기 영남지역 목곽묘 부장 압형토기 조형의 기존 해석을 재검토한 후 새로운 해석과 부장 의미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목곽묘 부장 압형토기의 조형은 오리가 우세하지만 형태적 특징을 현존하는 조류와 비교해 보았을 때 꿩, 기러기가 포함된 것으로 보이고 기존에 밝혀진 수리부엉이까지 포함하면 여러 조류의 존재가 인정된다. 따라서 압형토기 조형의 기존 해석과 달리 오리를 비롯해 꿩, 기러기, 수리부엉이의 가능성도 고려된다. 조류토기의 부장 의미를 유기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목곽묘 전후 시기에 해당하는 목관묘와 고총 단계 자료도 일부 함께 검토하였다. 특히 목곽묘 부장 조류토기와 경산 임당·조영동 고분군 부장 조류의 조합에서 유사한 점도 간취된다. 결국 분묘 부장 조류와 관련된 자료는 목관묘 단계에 확인되는 부채 자루에 꽂힌 새의 깃털에서 목곽묘 단계에 가면 조류를 형상화한 토기로 부장되다가 고총 단계에는 조류를 직접 부장하는 방식으로 변화된다. 특히 오리, 꿩, 기러기는 목곽묘에서 고총 단계까지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조류인 점과 목곽묘의 훼기 현상도 고총 단계에 머리와 발 등을 절개하는 방식이 확인되는 점 등은 조류토기 부장 방식 전통 문화가 일정 부분 공유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examined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form of pressed-pattern pottery (duck-shaped pottery) found as burial goods in wooden chamber tombs of early Silla in the Yeongnam region, offering a new interpretation and focusing on its significance as a burial item.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duck is predominant in the forms of pressed-pattern pottery, a comparison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bird species suggests the inclusion of pheasants and geese.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previously identified Eurasian eagle-owl, the presence of multiple bird species is recognized. Therefore, unlike previous interpretations that emphasized only ducks, the possibility of pheasants, geese, and Eurasian eagle-owls is also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bird-shaped pottery items as burial goods, this study also examined related materials from coffin burials and mound tombs. Notably, similarities can be observed between the bird-shaped pottery found in wooden chamber tombs and the bird burial practices of the Imdang-dong and Joyeong-dong tomb clusters in Gyeongsan. Eventually, the burial materials related to birds show a transition from the stage of bird feathers attached to fan handles in the coffin burial to the stage of bird-shaped pottery in the wooden chamber tombs, and finally to the stage of direct inclusion of bird remains in the mound tombs. Ducks, pheasants, and geese are consistently found from wooden chamber tombs to mound tombs, and the mutilation practices observed in wooden chamber tombs— such as cutting the heads and feet—persist into the mound tomb st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culture of bird burial was shared to a certain extent.

목차

Ⅰ. 머리말
Ⅱ. 압형토기 대상자료 개관
Ⅲ. 압형토기 조형의 기존 해석
Ⅳ. 압형토기 조형의 새로운 해석과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태. (2025).신라 조기 영남지역 목곽묘 부장 압형토기 祖形과 의미. 고문화, (), 7-33

MLA

이원태. "신라 조기 영남지역 목곽묘 부장 압형토기 祖形과 의미." 고문화, (2025): 7-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