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출토 대금식 판갑의 제작지와 전개 양상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roduction Site and Development of Daegeum style armors from the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저자명
- 박준현
- 간행물 정보
- 『고문화』제105집, 35~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삼국시대 가야, 고구려, 백제, 신라는 다양한 철제 갑주를 생산하고 발전시켰다. 5세기 이후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는 대금식 판갑과 충각부주 또는 미비부주가 세트인 대금식 갑주가 새롭게 등장한다. 이 갑주는 일본 열도에서도 확인되어 당시 양 지역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이다. 최근 한반도 내에서 대금식 판갑의 출토 및 보고 자료가 증가하면서 그 성격 및 당시 한일 관계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 제작지에 대한 견해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로 나뉘는데, 이는 대금식 판갑의 전개 양상을 이해하는데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대금식 판갑의 제작지는 등장기 대금식 판갑의 특징을 한반도의 종장판갑 및 일본 열도의 방형판갑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등장기 대금식 판갑의 조립 과정, 구조 및 제작 기법 등의 특징은 방형판갑과 유사하다. 이는 대금식 판갑이 방형판갑과 동일한 기술 계보 상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갑옷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 제작지를 일본 열도로 파악하는 주된 근거가 된다.
대금식 판갑의 전개 양상은 크게 가야·신라 지역과 마한·백제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5세기 중엽 가야·신라 지역에서 출토된 대금식 판갑은 주로 소형분에서 대금식 갑주 세트가 아닌 판갑만이 주로 확인된다. 5세기 후엽부터 대형분에서는 대금식 판갑이 찰갑, 종장판주 등의 재지계 갑주와 함께 부장된다. 이 지역의 대금식 판갑은 일본 열도와의 교류를 통해 소유자의 재화 또는 매장 의례용으로 부장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5세기 중엽 마한·백제 지역에서는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왜와 관련된 매장 시설 및 부장 관습을 보이는 고분에서 대금식 갑주가 세트로 확인된다. 5세기 후엽에는 앞 시기와 유사한 양상 속에서 점차 백제 중앙 및 가야와 관련된 유물이 함께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는 5세기 중엽 마한 지역과의 교류를 위해 이 지역으로 온 왜인들이 점차 백제 중앙과 연결되면서 현지화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이 지역에서 출토된 대금식 판갑은 대부분 피장자가 생전에 사용한 실용품으로, 5세기 후엽 이후 교류로 입수한 것을 부장한 예도 일부 확인된다.
영문 초록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Gaya, Goguryeo, Baekje, and Silla produced and developed a variety of iron armor. After the 5th century, the so-called Daegeum-style armors, which is a set of Daegeum-style armor and Horn helmet or Awning helmet, appear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mor was also excavate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which is an important archaeological materia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gions at the tim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excavation and reporting cases of Daegeum-style armor, research on its nature and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e time has become active.
However, opinions on the production site are divided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which is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background of the Daegeum style plate armor. The manufacturing site of Daegeum style plate armor can b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Daegeum-style plate armor with the Vertical plate armo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quare plate armor on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assembly process, structure, and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Early Daegeum-style plate armor, the Rectangular plate armor,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quare plate armor. This shows that Daegeum style plate armor is a new type of armor created on the same technological genealogy as Square plate armor, and it serves as the main basis for grasping the production site as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development of Daegeum style plate armor can be divided into Gaya and Silla regions and Baekje regions. Daegeum style plate armor found in the Gaya and Silla regions in the mid-5th century was mainly found in small-sized tombs, and Daegeum style armors are not buried in batces.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it is also found in large-sized tombs, and is mainly buried with Local-traditional armors such as Scale Armors and Vertical plate Helmets. It is believed that Daegeum-style plate armors in this area was obtained as a ritual for the deceased's goods or stores through exchanges with the Japanese archipelago.
On the other hand, Daegeum-style armors were found in Baekje in the mid-5th century, which shows burial facilities and burial practices of Japanese pirates centering on the southwest coast. In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relics related to Baekje's central region and Gaya were gradually identified in the same pattern as in the previous period. This change is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the Japanese who came to the region to exchange with the Mahan region in the mid-5th century gradually became localized in connection with the central region of Baekje. Daegeum style plate armors excavated in this region are thought to be practical items used by the deceased during their life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제작지 검토
1. 구조
2. 조립 공정
3. 제작 기법
4. 틀과 대금식 판갑의 등장
Ⅲ. 분포와 전개 양상
1. 대금식 판갑의 출현과 분포 변화
2. 갑주 소유 양상
3. 전개 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