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수업 중 디지털기기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태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48

영문명
Impa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assroom Use of Digital Devices on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of Class Attitude’s Mediating Effect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2호, 111~12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수업 중 디지털기기의 활용이 교과별 수업태도를 매개로 국어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분석하였으며, 학업성취도의 영향요인을 함께 통제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종단연구2021의 초등패널 2~3차년도 자료 바탕으로 구조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수업 중 디지털기기의 활용은 교과별 수업태도를 매개로 국어와 수학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수업중 디지털기기 활용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수업태도가 긍정적이었고, 수업태도가 좋을수록 국어와 수학 성취도가 높았다. 국어성취도에 대한 디지털활용의 효과는 매개효과 외에 직접효과도 유의미하였다. 반면 수학성취도에 대한 디지털활용의 효과는 수업태도에 의해 완전매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사전성취도 및 다른 요인의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수업 중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방법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관련 지원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별, 학교별, 학교급별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rough students’ attitudes toward class and controlled for academic achievement’s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classrooms on achievement in each subject. Data from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the elementary school panel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21 were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regression model. Through their classroom attitude, digital use positively affected elementary students' math and Korean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ir assignment feedback,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 toward class; the better their attitude toward class, the high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o its mediating effect, digital us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On the contrary, attitude toward class fully mediated digital use’s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This trend was significant even when prior achievement and related factors’ influence were considered.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e need to create a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trengthen related support so that various teaching methods using digital devices can be developed and used dur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t the regional, school, and school leve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5).초등학생의 수업 중 디지털기기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태도의 매개효과. 교육논총, 45 (2), 111-125

MLA

. "초등학생의 수업 중 디지털기기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태도의 매개효과." 교육논총, 45.2(2025): 111-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