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열정의 결과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열정이원론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35
- 영문명
- Meta-Analysis of Passion’s Outcomes Based on the Dualistic Model of Pass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황혜준 임효진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2호, 65~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화열정, 강박열정과 그 결과에 대해 연구한 국내 논문들을 종합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이어 조절변인에 따른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008년부터 2024년까지 출판된 연구물 중 분석에 필요한 수치를 제공하는 218편에서 산출된 총 1,134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국내 열정 관련 연구는 약 70%가 스포츠/예술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고, 교육 및 직무 분야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메타분석 결과 첫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모두 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조화열정은 중간 이상, 강박열정은 중간 이하의 전체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두 열정은 공통적으로 인지, 정서, 대인관계, 수행 및 심리적 안녕감 차원의 변인들과 대부분 정적 관계를 보였고, 조화열정의 효과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조절분석 결과, 출판 유형과 연구분야, 그리고 연령과 연구분야를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 강박열정에서만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일부 변인에 한해 강박열정은 스포츠/예술 분야에서 다른 연구 분야보다 더 높은 효과크기를 보여, 맥락에 따라 열정 유형의 작용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After synthesizing empirical studies on passion, this study examined how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s are associated with their outcomes. Effect sizes were extracted from 218 Korean studies (conducted from 2008 to 2024), each reporting sufficient statistics for meta-analysis. Approximately 70% of students focused on sports and the arts, with fewer studies in educational and work domains. First, results indicated that both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outcomes: harmonious passion demonstrated a moder ate-to-strong effect size, whereas obsessive passion demonstrated a small-to-moderate effect size. Second, both typ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gnitive, emotional, interpersonal, performance-relate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 harmonious passion generally had stronger associations. Finally, moderation analyses revealed that when publication type, age, and research domain were considered simultaneously,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emerged only for obsessive passion. Specifically, obsessive passion yielded greater effect sizes in the sports and arts domain than in other domains, suggesting that passion’s function may vary by contex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지지, 그릿,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조적 관계 분석
- 초등학생의 수업 중 디지털기기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태도의 매개효과
- 졸업생 프로파일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혁신: 미국 버몬트주 사례의 분석과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비교 분석
- 초등교사의 시설보호아동 교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열정의 결과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열정이원론 연구를 중심으로
- 예비초등교사의 MBTI에 따른 신체적자기지각과 운동자신감 및 적응수행의 관계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관점으로 본 운동장의 역할과 의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 처우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예비 초등교사들의 수학교육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사례 분석: 디지털 수학 교구, 생성형 AI, 국제 협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