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졸업생 프로파일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혁신: 미국 버몬트주 사례의 분석과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이용수 60
- 영문명
- Curriculum Innovation through the Portrait of a Graduate: Analysis of the Vermont Case’s Applicability to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선영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2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적·경제적 환경 속에서 학교교육이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미래지향적 핵심 역량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실질적으로 함양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교육과정 혁신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미국 버몬트주의 졸업생 프로파일(Portrait of a Graduate) 사례를 심층 분석하여,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버몬트주는 학생의 학습자 주체성, 비판적 사고, 글로벌 시민성 등 여섯 가지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졸업생 프로파일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를 일관되게 정렬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있었다. 특히 지역사회와 학교 공동체가 함께 졸업생 프로파일을 설계하고 실천 전략을 마련한 점, 그리고 역량별 세부 지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학습 경험과 평가 체계에 통합한 점이 중요한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총론과 각론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으나, 학교 단위에서 이를 실질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과 지원 체계는 여전히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졸업생 프로파일에 내재된 논리를 활용하여, 학생 성공 비전 재정립, 지역 및 학교 단위의 교육과정 자율성 강화, 구체적 실천 지표와 학습 경험 설계, 평가 체제 혁신, 학습자 주체성 촉진 등을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curriculum innovation strategies to foster future-oriented competencies among students in response to rapidly changing socioeconomic contexts. Focusing on the Portrait of a Graduate (PoG) implemented in Vermont, USA, this study analyzes how this framework enables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with clearly defined graduate competencies. The Vermont case reveals that by identifying six core competencies—learner agency, critical thinking, effective communication, global citizenship, well-being, and academic proficiency—and by establishing detailed performance indicators for each, schools can systemati cally design competency-based learning experiences and evaluation systems. Furthermore, com munities and schools’ active participation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PoG strengthens the practicality and sustainability of educational reforms. Nationally, in contrast, Korea’s com petency-based curriculum remains largely abstract, lacking concrete mechanisms for schools’ operationalization. The study recommends that Korea adopt a more learner-centered vision of student success, promote localized curriculum autonomy, integrate practical competency indicators into learning and assessment, and encourage active student agency. The study empha sizes that the PoG model can serve not only as a curriculum planning tool but also as a strategic device for articulating schools’ educational identity and community vi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버몬트주의 사례를 통한 졸업생 프로파일의 내용과 특징
Ⅳ. 우리나라와 버몬트주의 역량 체계 비교
Ⅴ. 시사점 및 한계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지지, 그릿,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조적 관계 분석
- 초등학생의 수업 중 디지털기기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태도의 매개효과
- 졸업생 프로파일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혁신: 미국 버몬트주 사례의 분석과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비교 분석
- 초등교사의 시설보호아동 교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열정의 결과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열정이원론 연구를 중심으로
- 예비초등교사의 MBTI에 따른 신체적자기지각과 운동자신감 및 적응수행의 관계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관점으로 본 운동장의 역할과 의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 처우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예비 초등교사들의 수학교육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사례 분석: 디지털 수학 교구, 생성형 AI, 국제 협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a Studies Vol.3 No.8 Contents
- 习近平关于树立和践行政绩观的重要论述:理论渊源、丰富内涵和时代价值
- 习近平文化思想对中华优秀传统文化传承创新的内在逻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