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상담에 대한 기대 간의 관계에서 대인 존재감과 대인 신뢰감의 매개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on Effect of Mattering and Interpersonal-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상담학회
- 저자명
- 이연희 장재홍
- 간행물 정보
- 『교육상담연구』제6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안, 회피 애착과 상담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 대인 존재감 및 대인 신뢰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만 19세 이상의 대학(원)생 359명으로, 친밀 관계 경험 개정판(ECR-R), 상담에 대한 기대 척도(EAC), 대인 존재감 척도, 대인 신뢰감 척도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SPSS 21.0과 Mplus 8.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 애착, 회피 애착, 상담에 대한 기대, 대인 존재감, 대인 신뢰감은 불안 애착과 상담에 대한 기대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 회피 애착과 상담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 대인 존재감과 대인 신뢰감이 매개하는 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대인 존재감은 불안 애착이 상담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 애착은 상담에 대한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대인 존재감을 통해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 회피 애착과 상담에 대한 기대의 관계에서 대인 신뢰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interpers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ttachment styles—specifically, anxious and avoidance attachment—and their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The participants were 35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ged 19 and older, who complet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 (ECR-R),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EAC) scale, Korean-version Mattering Scale, and Interpersonal Trust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1.0 and Mplus 8.1.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xious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mattering, and interpersonal trus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Seco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matter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oth anxious and avoidance attachment and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voidance attachment showed no direct effect on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but exerted its influence solely through the mediating pathway of mattering. Third, interpersonal trust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ous and avoidance attachment and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