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입원 시 우울과 코로나19 중증도의 연관성
이용수 9
- 영문명
-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COVID-19 Severit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배지원 이경신 김장래 배활립 전명욱 이소희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4권 제2호, 101~10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t the time of admission to hospital and the severity of disease in COVID-19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n COVID-19 patients hospitalized in a nationally designated COVID-19 treatment center between February 2020 and December 2022.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along with mental health assessments completed upon admissi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COVID-19 severity.
Results: Among the 1414 participants, 241 (17.04%) had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151 (10.68%) showed moderate to severe anxiety, 155 (10.96%) ha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401 (28.36%) exhibited somatic symptoms.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upon admission to hospital had a 4.12 times higher risk of severe COVID-19 compared to those without depression. Subgroup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VID-19 severity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seven days or less. However, in those hospitalized for more than seven days,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severe COVID-19.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heightened attention to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in hospitalized COVID-19 patients is necessary.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울증상 및 정신건강 보호-취약요인 선별평가를 위한 배터리 평가도구 단축형(PROtective and Vulnerable factors battEry test-Light version)의 개발
- A Pilot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of Military Personnel
- 가상 현실 기반 바이오피드백 모션체어(Virtual Reality- Biofeedback Motion Chair)의 임상적 활용
- 입원 시 우울과 코로나19 중증도의 연관성
- 가상현실을 활용한 단축형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 정신 외상을 경험한 환자에서의 마인드마스터 명상기반 프로그램의 효과
- 지역사회 청소년에서 언어 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 심리평가 도구: 초기 부모-자녀 관계 평가를 위한 면담 및 자기보고 접근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수면장애 환자의 뇌혈류 조절 이상에 대한 고찰: 불면증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뇌영상 연구를 중심으로
- 수면 장애 환자에서 지속형 멜라토닌 제제의 임상적 사용에 대한 후향적 의무기록 리뷰 연구
- [Erratum] Prevalence and Medical Cost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Korea: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laims Data from 2007 to 2019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