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 생식건강 연구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논문분석[2014~2023]
이용수 0
- 영문명
- Trend of Research on the Reproductive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발행기관
- 다문화건강학회
- 저자명
- 나현 문소현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건강학회지』제15권 제1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ajor trends in the reproductive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from 2014 to 2023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reproductive health and health management abilit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nursing. Methods: Literature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DBpia, KCI (Korean Citation Index), KISS, and Korea Science by combining the following keywords: married immigrant women, reproductive health, pregnancy, childbirth, and cervical cancer vaccine. Forty-seven studies on the reproductive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 wereanalyzed. Result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quantitative research (70.2%) and qualitative research (29.8%). The primary academic fields were medicine (40.4%), social studies (25.5%), multidisciplinary studies (19.1%), engineering (10.6%), and natural sciences (4.3%). The analysis across seven focus areas showed that maternal care (59.6%)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opic, followed by social influence (14.9%), health risks and gender influences (10.6%), women’s health issues (8.5%), sexual health and violence against women (2.1%), and others(4.3%).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reproductive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over the past decade, providing fundamental data to guid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is population. Future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should includ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and consider studi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because married immigrant women are a vulnerable group requiring targeted health intervention.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성격5요인, 임상실습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메타인지가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주여성 생식건강 연구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논문분석[2014~2023]
- 다문화 이해에 초점 맞춘 인권 교육 프로그램의 정신간호학실습에의 적용
- Factors Associated with Injury Experiences among Korean Adult Males :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자아개념 및 행복감과의 관계
-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 : Q-방법론 적용
-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조직사회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중등직업간호학생의 직업정체성이 학습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