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족의 가정생활 및 가족센터 이용 현황 조사: 2023년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19
- 영문명
- A Survey on Family Life and the Family Center Utiliza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2023 User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정하 김경은 강복정 백지민 이도경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1호, 23~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센터를 이용하는 다문화가족의 생활 실태와 가족관계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가족센터 사업참여현황을 살펴보는 것이다. 2023년 가족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 성인들을 표집하기 위해 비례층화표집법을 바탕으로 전국의 가족센터 48개소에서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대상으로 다문화가족 구성원 292명(여성 87%)을 선정하였다. 다문화가족 생활 실태는 가정생활 만족도, 가족 성평등 인식 및 가사 수행으로 평가하고, 가족관계 특성은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 및 아동⋅청소년⋅성인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로 평가하였다. 가족센터의 사업참여 현황은 센터 사업에 대한 인지도와 사업참여 만족도로 평가하였다. 자료분석에 기술통계와 t-검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의 생활 실태에서 가정생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8.1점으로 나타났고, 성평등 인식과 가사 수행도 8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성평등 인식의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천의 측면인 가사 수행에서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 자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관계 특성에서 배우자와의 관계는 10점 만점에 7.8점으로 나타났고,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자녀의 발달단계를 구분해 살펴본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에서 아동, 청소년, 성인 자녀와의 관계는 모두 7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센터 사업참여현황에서 센터 사업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 모두 7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가족센터를 이용하는 다문화가족의 생활실태 및 관계 특성, 사업참여 현황을 파악하여 가족센터의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계획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mily life, family relationships, and participation in family center programs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48 family centers nationwide using a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292 adults (aged 19 or older) in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had used a family center more than once during 2023. Family life was assessed by satisfaction, gender equality perceptions, and household task participation. Family relationships were measured by satisfaction with spouse and children. Program participation was evaluated by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center program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averaged 8.1 out of 10.0, with scores for gender equality perception and household task participation also above 8.0. Although no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gender equality perception, women reported more frequent household task involvement than men. Second, in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spous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veraged 7.8 out of 10.0, with men reporting higher satisfaction than women.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cross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all exceeded 7.0. Third, regarding family center program participation, both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programs scored above 7.0.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planning and manag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grams by identifying the living condition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program particip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utilizing family centers nationwi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성취기준에 따른 청소년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 교수-학습내용 제안 연구
- 세계시민교육 가르침의 여정: 한 가정과 교사의 서울다문화교육지원센터 파견교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가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이 예비가정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족의 가정생활 및 가족센터 이용 현황 조사: 2023년 이용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저출산⋅고령사회 내용 분석
- 청소년 소비자의 금융이해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의사결정나무 분석 적용
-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랑론과 가정과교육의 관련성
- 가정과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정도
- 에듀테크를 활용한 가정과 주생활 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