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서ㆍ행동 관심군 고등학생을 지도한 담임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87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Homeroom Teachers who Guid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Group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손현정 김장회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1호, 71~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담임교사가 정서·행동 관심군 고등학생을 지도하면서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의 내용과 본질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C도시의 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담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7개의 본질적 주제와 27개의 드러난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7개의 본질적 주제는 ‘불안으로 다가오는 위기 학생’, ‘협력할 수 없는 학부모’, ‘스트레스와 정체감 혼란에 빠진 담임교사’, ‘바닥을 치는 몸과 마음’, ‘자신을 지키기 위한 노력’, ‘학생과 함께 하는 성장의 시간’, ‘새로운 변화를 위한 기대’이다. 결과를 바탕으로 정서·행동 관심군 고등학생을 지도한 담임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현상학적 대주제는 ‘불안과 혼란 속에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을 통해 자신의 길을 만들어 가다’로 규명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담임교사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심리적 소진을 예방할 방안 및 본 연구의 시사점 등과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mong high school homeroom teachers while supporting high school student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oncerns.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homeroom teachers from high schools in City C. The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ing in seven essential themes and 27 categories. The seven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Students in crisis approaching with anxiety’, ‘Parents who cannot cooperate’, ‘Homeroom teachers trapped in stress and identity confusion’, ‘Body and mind hitting rock bottom’, ‘Efforts to protect oneself’, ‘Growth time shared with students’, and ‘Expectations for new chan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overarching phenomenological theme encapsulating the teachers’psychological difficulties was identified as ‘Overcoming difficulties in anxiety and confusion, and creating one’s own path through growth’.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trategies to better understand and mitigate psychological distress and burnout among high school homeroom teacher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