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산림교육프로그램 효과검증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Developing an efficacy verification scale for an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주 안세정 송주은 정보영 최정호 김예원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1호, 153~18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산림교육프로그램 효과검증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5세 자기 응답식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척도 문항 개발 단계에서는 예비 문항 개발이 이루어졌다. 1차 시안 개발에서는 연구모임을 통해 문헌을 분석하고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2차 시안 개발에서는 2회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5개 영역 21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척도 문항 타당화 검증 단계에서는 현장 적용을 하였다. 1차 현장 적용은 A기관 5세 유아 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과 척도 영상을 수정⋅보완하였다. 2차 현장 적용은 B기관 5세 20명과 C기관 5세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장 적용 결과로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 준거관련타당도, 신뢰도를 살펴본 후, 이를 반영하여 문항 및 영상을 수정⋅보완하고 척도에 대한 매뉴얼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척도 문항 확정 단계에서는 5개 영역 20개의 최종 문항을 확정하고 문항에 맞는 영상 및 척도 매뉴얼을 확정하여 최종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척도의 구성 영역 및 내용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산림교육 표준지침과 연계하여 교육과정 영역 및 내용범주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둘째,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 준거관련타당도, 신뢰도를 통해 문항 구성이 적절하고 상⋅하집단 간 차이 변별을 잘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최종 척도 문항은 5개 영역 20개의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ffectiveness verification scale for an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program, a “5-year-old self-response scale” aligned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 national early childhood framework. As part of this proces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during the scale item development stage.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during the first draft development, and questions were formulated through a research group, two expert reviews identified 21 items across five areas in the second draft develoment. Subsequently, the scale items were vaildated through field application. The first field application involved 14 5-year-old children at Institution A, leading to revisions and refinements of the items and scale images based on the results. The second field application was conducted with 20 5-year-old children at Institution B, and 50 at Institution C.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tems and videos were further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a scale manual was developed. Finally, in determining the scale items, 20 of the final items 5 across five areas were confirmed,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images and scale manual,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the final sca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ale’s composition areas and content categories were first align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forest education standard guidelines. Second, analyses of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reliability confirmed that the items were appropriately structured and effectively distinguished between higher and lower levels. Third, the final scale was established with 20 items across five area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절차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숲유치원 아이들의 더불어 살아가기: 숲에서의 자유놀이 속 또래 갈등과 해결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목차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사의 학부모 민원에 대한 은유분석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산림교육프로그램 효과검증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9 Contents
- 青少年自尊特征与自我效能感的关系研究
- 教育数字化背景下中小学教师数字素养培育的价值、困境及路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