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렇게 대학원생이 되었다: 세 교육인류학도의 교육 생애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46

영문명
Becoming Graduate Students: How Three Master’s Students in Anthropology of Education Develop Their Student Identity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김주희 고석영 이한결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4권 제3호, 115~14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인류학도 세 명의 교육 생애를 협력적으로 탐구한 자문화기술지이다. 연구자-참여자들은 대학원 진학 전후 교육현장에서 마주한 서로의 성장 경험을 교차적으로 검토했다. 공통적으로, 우리는 중등교육 시절 학교 안팎에서 불평등을 경험하고 이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마주했다. 이에 더해, 당시 각자가 형성한 이상적인 인간상의 모습은 우리가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결심하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대학원 진학 후, 우리는 입학 전 가진 불평등과 관련된 문제의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했다. 이러한 학습 경험은 지적 희열이나 내적 성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는 전일제 대학원생으로서 학생과 직업 사이에 위치한 애매한 존재로 정의되며 갈등을 겪기도 했고, 이러한 고민의 과정은 대학원 졸업 후의 진로를 구상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우리의 작업은 기초학문의 성격을 가진 전공공동체에 속한 전일제 대학원생의 교육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하며, 특히 학문후속세대가 처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진로 및 노동시장 이행 등과 관련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delves in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ree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nthropology of Education. We, as researcher-participants, utilized our self-narratives and collaborative in-depth interviews to shed light on the complexities of becoming full-time graduate students. Our qualitative investigation showed that all three of us had experienced instances of educational inequality in and out of secondary schools. Those negative experiences were followed by academic curiosity, which in turn led to our aspirations to explore the root causes, processes, and solutions of the educational inequality after entering college. Also, using the metaphors of “street smart,” “volunteer,” and “megaphone” our narratives represent the desire to create specific types of identity while studying in graduate school. However, various challenges that had risen from our in-between position as students and professionals resulted in the complexity of constructing our imagined futures. Explor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ree graduate students through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we found out a broader social context with regard to the hardships that Korean graduate students are facing. Specifically,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graduate students is hardly recognized and most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in looking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rom our work,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future research to examine the identity formation of diverse full-time graduate students in Korea considering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의 시작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교육인류학으로의 수렴
5. 교육인류학도로 살아가기
6. 맥락에 비추어보기
7.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희,고석영,이한결. (2021).그렇게 대학원생이 되었다: 세 교육인류학도의 교육 생애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24 (3), 115-148

MLA

김주희,고석영,이한결. "그렇게 대학원생이 되었다: 세 교육인류학도의 교육 생애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24.3(2021): 115-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