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CT기반 노르딕워킹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이용수 60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an ICT-Based Nordic Walking Exercise Program: A Study on Local Residents
- 발행기관
- 한국농촌간호학회
- 저자명
- 정미라 한상희
- 간행물 정보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19권 제2호, 130~13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 ICT-based Nordic walk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indicators (blood pressure, cholesterol), health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wellness among local residents. Methods: We conducted this study using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39 residents from S City from July 3 to August 30, 2024, over an eight-week period.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with SPSS 25.0 software. Results: After implementing the ICT-based Nordic walking exercise program, we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indicators, includ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otal cholesterol.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ealth self-efficacy, both quality of life and well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Participants' step counts increased by an average of 1,884 steps following the program. Conclusion: The Nordic walking exercise was effective in reducing blood pressure and total cholesterol, while enhanc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wellness. We recommend its proactive use and dissemination as an exercise program that promot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변화 경험
-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Lipids in Rural Older Adults: Analysis of the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워크샘플링을 활용한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분석: 의료취약지 원격협진 업무를 중심으로
- ICT기반 노르딕워킹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와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 농촌 지역 노인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운동·영양 복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교육요구도 분석
-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가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 비교
-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자아효능감 및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웰다잉 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태도, 작성 의향 및 장기 기증 의향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 노인 대상 AI 기반 의료시스템 적용 현황에 대한 주제 범위 문헌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