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 반 훈이는 수업에서 어떻게 소외되는가?

이용수  5

영문명
How is "Hoon" Alienated in Classroom Lesson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서근원 변수정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7권 제3호, 41~102쪽, 전체 6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10,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도시 공단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훈이’가 학교에서 어떻게 왜 소외되는지를 성찰적 질적연구를 통해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훈이’가 학교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모습 속에서 교육소외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2년 5월 29일부터 9월 20일까지 훈이의 학교생활을 관찰 기록하고, 그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훈이는 이른바 “학습부진 학생”이다. 그래서 담임교사는 훈이가 수업에서 하는 모든 일에 무기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예상한대로 훈이는 학교 생활 속에서 다양한 모습의 소외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멍하니 자신의 책상 끝을 바라보고 앉아있는 것이다. 그러나 드물지만 교사나 교과서 또는 친구가 하는 모습을 유심히 바라보고, 그것을 작은 몸짓으로 따라해 보고, 자기의 의견을 말하거나 주장하는 모습 등도 보였다. 이것은 담임교사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모습이었다. 훈이는 수업상황을 ‘복잡한 것’과 ‘복잡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라서 다르게 행동하고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훈이가 수업의 장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교사가 훈이의 이러한 인식 특성을 고려하여 훈이가 능동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시도해 볼 수 있는 것을 학습의 과제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교사로 하여금 훈이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우리나라 학교의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the reason of alienation in a Korean elementary school lesson. For this purpose, we did the qualitative case study of "Hoon," a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elementary school where he was in is located in an industrial complex district in one of the big cities in Korea. From May 29th to September 20th, 2012, we observed his everyday life in school and analyzed observation record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we found: "Hoon" is an "under-achieving student." His teacher expected that he would always be in a state of helplessness. As expected, he showed signs of various types of alienation in his school life. In many situations he just looked at the edge of his table. But he was not alienated all the time. Sometimes he kept his eyes on his teacher, his book, and the behavior of his classmates. And he imitated their gestures timidly, told his opinion in tiny voice. The later is what his teacher didn't expect. He classified the classroom lesson situation as "complicated" and "non-complicated." He a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his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se findings, to have Hoon not be alienated in classroom lessons, teachers have to provide Hoon learning tasks that he can be interested in and let him try actively. Along with this, we have to improve the Korean school education system not to disturb teachers to have classroom less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oon-like" student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교육 소외
3. 연구 참여자와 연구 방법
4. 훈이의 학교 생활
5. 훈이의 수업
6. 훈이의 관점
7. 학교 안의 “훈이들”을 위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근원,변수정. (2014).우리 반 훈이는 수업에서 어떻게 소외되는가?. 교육인류학연구, 17 (3), 41-102

MLA

서근원,변수정. "우리 반 훈이는 수업에서 어떻게 소외되는가?." 교육인류학연구, 17.3(2014): 41-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