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특성을 가진 영재 학생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2
- 영문명
- Autoethnography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Charge of a Gifted Student with ADHD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지종민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7권 제3호, 133~179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자는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영재 학생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탐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ADHD 특성과 영재의 특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ADHD 영재 학생’에 대한 경험은 없었고 지식은 매우 부족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르침을 실행하려는 교사와 ADHD 영재 학생 사이에는 심각한 갈등 구조가 발생하였으며 갈등 구조는 교사와 일반학생, ADHD 영재 학생과 일반학생들 간의 갈등으로 심화·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교사는 교사가 의도하는 수업을 할 수 없었고, 학생들은 불편한 학교생활을 해야 했다. 둘째, 교사는 ‘ADHD 영재 학생’1)을 중심으로 빚어지는 새로운 형태의 갈등을 경험하며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현실과 이상의 새로운 타협점을 찾아야 했다. 타협점을 찾은 교사는 자신의 학문적 지식에 근거하여 갈등을 해결하려 했으며 그 결과 ADHD 영재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인 면은 발전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일반교사들의 ADHD 영재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과 ADHD 영재에 대한 조기 판별 및 조기 중재가 실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a teacher in charge of a gifted student with ADHD by using autoethnograph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gifted student with ADHD could not give classes effectively and smoothly because the student causes a lot of trouble in class. Becaus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gifted student with ADHD did not have expert knowledge about gifted students with ADHD, the student could not take appropriate and early interventions. This has caused a lot of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the student. Words and behaviors of the gifted student with ADHD hurt their classmates’ feelings. So, the teacher had to take care of the students’ mind more carefully to prevent school violence. Second, the teacher should reflect on himself and agonize over the gifted student with ADHD for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s for the gifted student with ADHD were conducted by the teacher. The teacher found that the interventions for the gifted student with ADHD were effective. The result of the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gifted student with ADHD could improve on regulating his speech and action a little mor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방법
3. ADHD 영재 학생과의 만남 그리고 살아온 이야기
4. 더 나아가기 위하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