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및 연구 절차 탐색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Procedure of Internet Ethnograph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오영범 김영천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6권 제2호, 83~12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특징과 연구 절차를 탐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먼저, 우리는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개념과 발달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전통적 문화기술지와의 비교를 통해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를 수행하는 절차를 연구주제 정의하기, 온라인 커뮤니티 선택하기, 자료 수집하기, 자료 분석하기, 연구 결과 보고하기의 5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에 따른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인터넷 문화기술지를 적용함에 있어 민감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윤리적 고려사항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문화적 현상인 인터넷 공간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유용한 질적 연구 방법이 될 것이며 교육 문화 현상을 재조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적용으로 밝혀진 문화 현상은 우리 삶의 모습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nternet ethnography as a new research method that has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First, the concept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Internet ethnography were throughly researched. This wa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ethnography through a comparison with traditional ethnography. Finally, the procedure of Internet ethnography is suggested to comprise of four steps: definition of the research theme,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the representation of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the ethical dimension of the application of research to Internet ethnography is also considered. This paper will provide a usefu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which to systematically research Internet space and contribute to a re-illumination of educational phenomena. Also, our cultural phenomena discovered through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our live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기
2.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개념과 발달
3.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절차 및 단계
4. 나가며: 연구방법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