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커밍아웃 : 탈북 대학생의 자기 드러내기 경험

이용수  0

영문명
Coming Out: The Experience of Self-Disclosure among College Students Who Fled from North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조소연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6권 제2호, 123~15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탈북 대학생 3명의 자기 드러내기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으로 연구한 것이다. 연구 결과, 탈북 대학생이 자기를 드러내는 것은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 있었는데, 탈북 대학생은 친밀하게 느껴지거나 친밀해지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자신을 드러냈고, 그로 말미암아 관계가 좋아지기도 나빠지기도 했다. 탈북 대학생은 자신의 정체성이 확고할 때 자기를 적극적으로 드러냈고, 자기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더 잘 알게 되었다. 탈북 대학생의 자기 드러내기 경험은 시간과 공간성에 영향을 받는 순환 과정이었으며, 자기 드러내기 경험의 시간성과 공간성은 분절된 것이 아니라 서로 맞물려 있었다. 한편, 탈북 대학생이 북한에서 왔다는 것을 밝히는 것은 자신의 출신을 다른 사람에게 밝히는 행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었다. 이것은 삶의 방향과 동기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나타났으므로, '드러내기'보다 '커밍아웃'이라는 용어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했다. 탈북 대학생의 커밍아웃은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 찾아가는 연속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남한 사회의 편견에 맞서 사회로 나오는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experience of self-disclosure among college students who fled from North Korea using the qualitative method of narrative inquiry. I have reconstructed the field texts of three students into research texts through narrative data analysis. The self-disclosure of college students who fled from North Korea was connected to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disclosed themselves to people they felt or wanted to feel close to, and their relationships either improved or deteriorated as a result. Students with stronger identities tended to disclose themselves more actively, and came to know themselves better during the process. Their experience of self-disclosure was a circular process, influenced by space and time, which also affected itself. I found that the term 'self-disclosure', did not fully capture the students' experience of telling other people that they were originally from North Korea. They seem to more appropriate to use the term, 'coming out' to describe their experience. It was not just an act of revealing their country of origin, but also a process of finding direction and motivation in life. The 'coming out' of these students was a declaration of their self-identity and beginning of an independent and active life in South Korean society while also standing up to its prejudices.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자 이야기
2. 현장 텍스트(field text)에서 연구 텍스트(research text)로
3. 연구 참여자의 자기 드러내기 경험
4. '커밍아웃': 벽장에서 나오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소연. (2013).커밍아웃 : 탈북 대학생의 자기 드러내기 경험. 교육인류학연구, 16 (2), 123-153

MLA

조소연. "커밍아웃 : 탈북 대학생의 자기 드러내기 경험." 교육인류학연구, 16.2(2013): 12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