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공모교장의 적응과정 사례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an openly recruited elementary school principa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유경훈 김병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5권 제3호, 99~12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교장공모제의 확대시행에 따라 단위학교 내에서 교장공모제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의미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공모교장은 어떠한 경험과 적응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그 특성은 무엇인지를 파악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국내의 초등학교 한 곳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중심의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모교장의 적응과정으로는 크게 '눈치 보며 다가가기', '뜸 들이고 친분 쌓기', '자극주고 정리해주기',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등으로 특징지어져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공모교장 적응과정의 특성은 '고립', '인내', '딜레마', '주체성' 등의 네 가지 주제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initiated based on the ne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of principals(ORSP) in component schools, following the expanded enforcement of the ORSP. In order to study the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of openly recruited principal(ORP),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research of 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ccording to results of the research, the adaptation processes of ORP include, 'approaching carefully', 'proceeding slowly', 'organizing after stimulation' and 'leading to the right directi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daptation processes of ORP can be categorized as 'isolation', 'patience', 'dilemmas' and 'identity'.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과정
3. 초등학교 공모교장의 적응 과정
4. 논의: 초등학교 공모교장 적응과정의 특성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