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긴장의 교육학적 해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about tens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한미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5권 제1호, 163~1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나는 햇살 테니스회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면서, 테니스의 내재적 재미가 긴장이라는 감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계기로 이 논문에서는 긴장에 대한 교육학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논의를 위해 긴장을 ‘일상의 긴장’, ‘교육 소재의 긴장’, ‘교육 활동의 긴장’으로 구분하였으며, 연구가 진행된 필드의 성격상 ‘교육 소재의 긴장’을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되었다. 학문, 예술, 스포츠 등의 활동에는 긴장을 유발하는 독특한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데, 긴장의 유발과 해소는 우리로 하여금 어떤 활동을 부담스러운 의무가 아닌 즐거운 놀이로 인식하게 만든다. 칙센트미하이는 사람들이 이러한 활동에 푹 빠져 있는 상태를 ‘플로우’로 개념화하였으며, ‘플로우’를 기술의 향상이나 도전의 수위를 높이는 것과 관련 지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해 본 결과, 테니스에서 ‘플로우’의 체험을 결정짓는 요인은 ‘경기의 조건’이었다. 맥킨타이어는 체스, 축구, 건축과 같이 정합적이고 복합적인 활동을 ‘사회적 실천’으로 개념화하였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 개념과 관련하여 긴장에 대하여 다음 세 가지를 논의하였다. 첫째, ‘사회적 실천’은 단순한 활동에 비해 긴장을 유발하는 장치가 풍부하게 내장되어 있다. 둘째, ‘사회적 실천’이 운영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우연적, 자의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원들의 노력이나 합의에 의해 변화가능하다. 셋째, ‘사회적 실천’의 전문가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로 활동하지 않을 때에는 느낄 수 없는 긴장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를 조절하는 능력은 전문가로 성공하느냐 성공하지 못하느냐와 관련이 있다.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qualitative research at Haesal Tennis Club, I found that the intrinsic fun of tennis wa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tension’. Theoretically, tension can be conceptual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namely ‘tension in ordinary life’, ‘tension in educational subject matter’, and ‘tension in educative activity’.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ension in educational subject matter’, an interpretation about ‘tens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re are peculiar devices that arouse tension in disciplines, arts, sports, etc. Through the arousal and relaxation of this kind of tension, we could think that the activity is not a duty, but play. Csikszentmihalyi termed the condition of when we are immersed in that kind of activity as ‘flow’. He explained that ‘flow’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echnique or the heightening of the level of challenge. However, through my fieldwork, it was found that the crucial factor of experiencing ‘flow’ in tennis is the condition of the tennis game. MacIntyre conceptualized coherent and complex activities such as chess, football, architecture, and so on as ‘social practice’. In this study, three significant ideas about ‘social practice’ are demonstrated. First, there are more devices to arouse tension in ‘social activity’ than simple activity. Second, the concrete operating system of ‘social practice’ has been formed accidently and arbitrarily, and so it can be changed by effort or agreement of the community members. Lastly, in professional practice, we have to put up with tension that amateurs do not need to face. If we failed to control this tension, it would be impossible to succeed as a professional.
                    영문 초록
목차
1. 문제 제기
	                       
	                          2. 선행 연구 개관
	                       
	                          3. '일상의 긴장'과 '교육 소재의 긴장'
	                       
	                          4. 교육 소재의 내재적 긴장
	                       
	                          5. '사회적 실천'으로 본 교육 소재의 긴장
	                       
	                          6.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