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열의 의미에 관한 한 해석 -사회적 상황의 변화와 관련해서-

이용수  0

영문명
An interpretation on the meanings of Korean education fever: In relation to the situations of Korean society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서근원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1권 제1호, 177~20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1.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발생하고 있는 교육열 현상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교육열 현상을 각각 한 가지 의미로 해석하고 논의를 전개했다. 그렇지만, 190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에서 전개되어 온 교육열 현상을 사회적 상황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교육열 현상은 시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열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사적 욕망을 실현하거나 국가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 근대적인 사회체제를 근대적인 사회체제로 전환하기도 하고, 근대적인 사회체제를 정착시키기도 하고, 새로운 체제로 전환시켜 가기도 한다. 그에 따라서 교육열 현상의 의미도 달라진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교육열은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황을 변화시키기도 하며, 사회 변화의 주요한 동인 가운데 하나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열이 발휘되고 확산되어가는 정도와 유형은 그 사회체제의 특성이나 사회의 유형을 알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unique education fever phenomenon in Korea. Most of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ducation fever phenomenon has one solid meaning. But, when we look at the education fever phenomenon in relation to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we find that it has various meanings. Education fever phenomenon does not only support private desires and national economic growth, but it can also change the premodern social system into a modern social system, fix and expand the modern social system, and change the modern social system into another. Considering these social situations, the meanings of education fever can vary. We can say that education fever not only reflects the social situation but also constructs it. It is one of the causes of social change. And the degree and types of education fever expansion can be an indicator of a social system's characteristic or the type of a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1. 교육열 현상의 다의성
2. 자연적 현상으로서의 교육열
3. 교육열과 사회 사이의 관련
4. 교육열과 사회적 상황의 변화
5. 교육열의 의미
6. 문화적 유전자(meme)로서의 교육열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근원. (2008).교육열의 의미에 관한 한 해석 -사회적 상황의 변화와 관련해서-. 교육인류학연구, 11 (1), 177-201

MLA

서근원. "교육열의 의미에 관한 한 해석 -사회적 상황의 변화와 관련해서-." 교육인류학연구, 11.1(2008): 177-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