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사이버가정학습 우수사례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best practice teachers in Korea cyber home learning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도헌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0권 제2호, 197~23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7.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 우수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참여교사들의 실천경험 및 운영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하여, 우수사례 교사들의 실천활동에 내재되어 있는 실천적 지식의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도 교육학술정보원이 선정한 우수운영사례 중, 교사의 탁월한 실천력이 돋보이는 3명의 우수사례 교사를 선정하여 3개월에 거쳐 심층면담, 학교현장 및 사이버공간에 대한 참여관찰, 내용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세 명의 사례교사들에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실천 활동의 특질들을 바탕으로 한국 사이버가정학습 우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사이버세상에서 권위보다 친구 같은 존재감 보여주기", "끊임없는 이벤트와 아이디어 기획하기", "학생과 학부모를 내 편으로 만들기", "교과·사이버·학생의 삼박자 특성에 맞춘 수업전략 운영하기", "학생 스스로의 자발적 운영으로 발전시키기", "감성적이고 신속한 피드백 구사하기", "디지털 첨단과 아날로그 감성 적절히 활용하기"와 같이 7가지 주제영역으로 나누어 14가지의 실천전략들을 심층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속에 투영된 포괄적 이미지로서 "종소리 없는 교실의 열정적 헌신 자", "수평적 관계의 눈높이 교사", "변화 추진자로서의 외로운 투쟁자"의 모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al knowledge embedded in the cyber teaching activities of thre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yber home learning program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amine their beliefs and experience about cyber-teaching activities during a three-month period. Thre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the 10 best teachers as recognized by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Each teacher was also selected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espectively to represent three formal school systems. The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in-depth interviews about teachers` practical experiences, participatory observations about cyber activities, and content analysis about artifacts created by teachers and their students. The results present 14 practical strategies based on 7 practical principles such as "showing friendship rather than authority", "planning various events and ideas continuously", "forming partnership wi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balancing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characteristics of teaching subject, students, and cyber environment", "providing emotional and fast feedback", "utilizing high-tech and high-touch adequately". Finally, three images projected i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Korea cyber education environment:"passionate devotion", "Noonnoppi teacher" (Noonnoppi means that teachers deal with their students like friends), and "lonely advocate as a change agent".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사이버가정학습 우수사례 교사의 실천적 지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